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악 3호분 벽화의 중원 색채와 그 의의

이용수 34

영문명
Style of Central China on the Mural Painting in Anak Tomb No.3 and It’s Significanc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일규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30집, 35~5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 벽화무덤의 출현 단계인 안악 3호분 벽화의 주요 내용은 무덤 주인이 살아생전에 영위한 생활상이다. 이는 중국에서 東漢 이래 무덤 벽화의 주요 특징과 같다. 안악 3호분은 무덤의 구조는 물론 벽화의 구도와 내용이 중국 中原과 遼陽의 벽화무덤과 상당히 유사하다. 안악 3호분 벽화에 묘사한 묘주의 위계를 나타내는 通幰車, 帷帳, 有屛榻, 節, 麈尾扇 등의 위세품은 墨書에 명기된 職官의 품계와 동급 수준의 위진남북조시대 중원의 무덤 벽화와 비교한 결과 거의 일치하였다. 안악 3호분과 덕흥리 벽화무덤에서 확인되는 중원 색채는 평양 일대의 대동강하구 유역이 427년 집안에서 평양으로 천도하기 전까지 도성인 집안 지역과는 차별된 사회문화상을 견지하였음을 시사한다. 동수는 묘주가 아니라 서쪽 측실의 입구 벽면에는 “帳下督”으로 표기한 門吏라는 견해가 있다. 장하독은 위진대 1~3품 관직에 예속된 屬官이다. 벽화의 묵서에 명기된 冬壽의 관직명은 魏晉代의 품계를 따르면 2~3품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동수는 1~3품 관직의 속관에 불과한 장하독으로 볼 수 없다. 그리고 벽화의 節은 묵서의 “使持節”의 직관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아울러 묘주가 탄 우차 또한 2~3품 관직이 사용하는 통헌거이다. 따라서 안악 3호분의 주인은 묵서에 명기된 冬壽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영문 초록

The main content of the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 3, a tomb which belongs to the emergent stage of Goguryeo mural tombs, is the life of the tomb owner in his life. It is the same with the mural tombs of China from the Eastern-Han Dynasty. Anak Tomb No. 3 is quite similar to the mural tombs of central China and Liaoyang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tomb, as well a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mural painting. Various prestige goods such as a type of cart (通幰車), drapes and a tent (帷帳), a folding screen and flat bench (屛榻), a type of pole (節), a type of folding fan (麈尾扇) depicted on the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3 represent the official rank, written in black ink on the mural painting of this tomb’s owner, and these cont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mural tombs of central China which are of the same level. This presence of objects originating from central China found on the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3 and Deokheungri tomb indicates that the Daedong River Estuary basin (which includes the Pyongyang area) maintained a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aspect from the Jian area, until the Goguryeo capital was relocated from Jian to Pyongyang in 427. There is a view that Dong Su was not the owner of the tomb, but a gate guard (門吏) written as “Jang Ha Dok” (帳下督) on the wall of the entrance of the western chamber. “Jang Ha Dok” is a subordinate official belonging to the first to third rank of the Wei-Jin Period. According to an ink handwriting record, Dong Su’s rank corresponds to the second to third official rank of the Wei-Jin Period. Therefore, Dong Su cannot be regarded as “Jang Ha Dok”. A type of pole called “jul” (節) on the mural painting reflects the office of “Sa Ji Jul” (使持節) written in black ink. In addition, the oxcart with the tomb owner is a type of cart called Tong Hun Gu (通幰車), which the second to third official rank rode. Therefore, it is most reasonable to regard the owner of Anak Tomb No. 3 as Dong Su, as is written in black ink.

목차

Ⅰ. 머리말
Ⅱ. 안악 3호분의 중원 속성
Ⅲ. 중원 색채의 의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규. (2024).안악 3호분 벽화의 중원 색채와 그 의의. 한국고고학보, (), 35-55

MLA

김일규. "안악 3호분 벽화의 중원 색채와 그 의의." 한국고고학보, (2024): 35-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