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營造法式』 축성도구 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A Study on the Wall Construction Tools of the Yingzao Fashi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봉근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30집, 7~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에서 판축용 도구는 『영조법식(營造法式)』의 기록에 근거하여 판축용 목주는 ‘영정주(永定柱)’, 판축용 목판은 ‘박연(膊椽)’, 판축용 목주를 지지·고정하는 횡목은 임목(絍木)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기존 선행연구의 견해는 축성도구의 용어나 용도, 기능 등 여러 문제점이 확인됨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검토 없이 추정·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영정주를 비롯한 『영조법식』에 기록된 축성도구에 대한 기존 해석의 문제점과 재해석을 통해 그 용도와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축성도구의 변천 양상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조법식』의 축성도구는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각 도구의 명칭은 물론 용도와 기능에 있어서 판축용 도구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었다. 이에 용도와 기능을 명확히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여 『영조법식』의 축성도구와 판축용 도구를 구분하자고 제안하였다. 또한 고고학적 자료와 문헌기록을 통해 『영조법식』의 축성도구는 토축성벽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축성 과정에서 성벽 내부에 목조구조물을 구성하는 고대 축성기술의 하나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영조법식』에 기록된 축성기술은 고대 축성사에 있어 중국 신석기시대 후기에 이미 태동하였고, 이후 발전을 거듭하였다. 북송(北宋)시대에 이르러 『영조법식』에 기록되면서 공식적으로 제도화되었고, 후대에도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던 축성기술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The term ‘Yeongjung Pillar (永定柱)’ is used in Korean archaeology to refer to the wooden pillar used to fix wooden blocks when applying the board frame construction method. This use begun in the mid-80s based on the record of Yingzao Fashi (營造法式). However, the record does not correspond with archaeological data in the sense that the wooden pillar used during board frame construction is not equivalent to the Yeongjung Pillar. This paper therefore analyzes the wooden pillar, the ‘Yeongjung Pillar’ of Yingzao Fashi, and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In the case of the wooden pillar, the names that were used to refer to it from ancient times, as well as its different forms, were analyzed, in association with construction method and function. To highlight the mistaken interpretation of Yingzao Fashi, the function of the Yeongjung Pillar and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were examined. These materials were then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there are common elements shared between the wooden pillar and the Yeongjung Pillar of the board frame construction method, but differences could also be observed in terms of in size, position during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ion or disassembling method, function, and textual records. These results go against the conception that the wooden pillar of the board frame construction method equals the Yeongjung Pillar; the two are clearly different. Finally, the wooden pillar has sometimes been found in the wall, as it was not disassembled after the board frame construction process. In this case, it functioned as the center of the wall or as a Yeongjung Pillar. The functional similarity of the two may be related to the mid-wall column of the wall of dwellings or structures that emerged in the Neolithic Age. The wooden pillar of the board frame construction method may have been derived from the mid-wall column technique. After the Neolithic Age, the wooden pillar that combined the function of the Yeongjung Pillar disappeared, and the two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Yeongjung Pillar continually developed after its emergence from the midwall column, and it was expansively applied to wall construction. It became institutionalized as the essential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in castle construction with the compilation of the architecture book Yingzao Fashi of the North Song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營造法式』 축성도구에 대한 제 논의
Ⅲ. 『營造法式』 축성도구의 재해석
Ⅳ. 『營造法式』 축성도구의 변천 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봉근. (2024).『營造法式』 축성도구 연구. 한국고고학보, (), 7-34

MLA

김봉근. "『營造法式』 축성도구 연구." 한국고고학보, (2024): 7-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