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 기후소양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91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limate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문병환 김세루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3권 제1호, 71~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기후소양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후변화 교육 및 기후소양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얻어진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도구개발 절차에 따라 도구개발 계획수립, 문항구성, 예비조사 및 본 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영역과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문항 시안을 구성하였다. 시안은 유아교육 교수, 환경교육 교수, 유아교사 등이 1차 및 2차 예비문항 타당도와 예비조사를 거쳐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문항구성의 적합도와 내용타당도 검증 및 요인분석 과정을 거처 수정 및 보완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520명이며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3개 영역의 6개 요소 30문항의 검사도구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 기후소양 검사도구는 문항양호도인 문항반응 분포, 문항 변별도, 검사도구의 구성타당도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도, 총점과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검사도구의 문항 내적일치도 신뢰도 등을 분석한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어 측정도구로서의 안정성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 climate literacy. To achieve this, a scale development plan, question composition,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were developed based on a survey of previous research on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climate literacy. The areas and components to measure were selected, and a question draft was constructed. The final questions were select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ors,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o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wo rounds of preliminary question validation and preliminary surveys. They were then revised and supplemented by verifying the suitability and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 composi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2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a scale comprising 30 questions across 6 elements in 3 areas. The scale developed for measu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limate literacy in this study confirmed appropriate reliability and validity after analyzing its item response branch, item discrimination, and construct valid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