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자리 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역량을 중심으로

이용수 33

영문명
What makes employees satisfied?: Exploring the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highschool graduates
발행기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저자명
문지영 양채원
간행물 정보
『핵심역량교육연구』제8권 제2호, 131~15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KEEP2) 3년 차(2020-2022) 자료를 이용하여 일자리(직장) 만족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고, 고교유형 및 고교 진로활동과 현 직장 업무관련 만족도가 전반적 일자리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조사 기간에 일자리 만족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선형 변화를 보였다. 둘째, 고등학교 때 경험한 진로 활동 중 진로 동아리 경험이 있고 창의적 체험활동이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독립변수인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전반적 일자리 만족도에 지속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교유형이 일자리 만족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자들의 초기 일자리 만족도가 다른 유형에 비해 낮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일자리 만족도의 격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교 시절, 특히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지도와 취업지원이 노동시장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 경험 축적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으로 고졸 취업자의 진로 역량을 높이고 일자리 만족도를 향상 및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업과 정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측면에서는 장기근속을 위해 고졸 취업자들의 지속적인 업무역량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KEEP2), from 2020 to 2022, this study explores how job satisfaction changes over time and how high school career guidance and career-related activities affect to the current job satisfaction and its trajectory of chang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LGC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study period, job satisfaction showed a linear trajectory of change that decreased over time. Second, among the career-related activities experienced in high school, the experience of career activities, and the career maturity were found to influence job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 career clubs and positive career attitud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job satisfaction, and experience in creative experienc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over time. Third, after controlling for independent variables that change over time, such as current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made higher increase in job satisfaction. Also, the type of highschool showed different job satisfaction and its trajectory over time. Specifically, the graduates from Meister schools and Specialized schools showed lower job satisfaction and it decreased sharply compared to other types of highschool. These results implied the career guidance in highschool stage should be focused to offer the actual experiences to the job, workplace, and labor market. Also, it is time for prepare policies, systems, and programs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the younger employees to encourage their royalty to the workplace and make them long-term employe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지영,양채원. (2023).일자리 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역량을 중심으로. 핵심역량교육연구, 8 (2), 131-154

MLA

문지영,양채원. "일자리 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역량을 중심으로." 핵심역량교육연구, 8.2(2023): 131-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