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모델 개발: Schein의 과정 컨설팅을 중심으로

이용수 40

영문명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for school consultant: Based on Schein’s Process Consultation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저자명
배현주
간행물 정보
『핵심역량교육연구』제8권 제2호, 47~7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 컨설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은 결정적이다. 그리고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은 컨설팅의 원리에서나 수행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공통역량 중에서도 특히 핵심적인 역량으로 강조된다. 본 연구는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을 구조화하고, 특히 Schein의 과정 컨설팅 모델을 기반으로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을 규명했다.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은 직종이나 직무에 관계없이 직업인이라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공통역량과 컨설턴트에게 요구되는 컨설팅 역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통역량은 의사소통 역량(일반적인 의사소통 역량, 교육적인 의사소통 역량), 대인관계 역량, 종합적 사고력,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역량, 자기관리 역량으로 구성되고, 컨설팅 역량은 학교 현장과 학교교육에 대한 컨설팅 내용 전문성과 컨설팅 원리와 기법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의미하는 컨설팅 과정 전문성, 그리고 컨설팅 과정에서의 비밀유지, 책임성과 진정성 등을 포함하는 컨설팅 윤리로 구성된다.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은 공통역량 범주에 포함되는데, 의사소통 기술이나 태도에 초점을 맞춘 일반적 의사소통 역량과 Schein의 컨설팅 원리에서 도출되어 의사소통의 의도와 내용에 집중하는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으로 구성된다. 일반적 의사소통 역량은 메시지를 정확하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해하는 쓰기, 말하기, 읽기, 듣기 능력과 의견차를 좁히고 공유 부분을 늘이는 토론과 조정 능력을 포함한다.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은 Schein의 컨설팅 원리에서 도출한, 의사소통의 목적과 내용을 규명하는 요인으로 구성된다.: 1) 상호 조력관계 형성과 의사소통의 중요성 인지, 2) 컨설티의 현재 상태에 집중하는 의사소통의 현재성(現在性), 3) 의사소통의 정확성, 4) 개입의 영향력 인지, 5) 컨설티의 주도성(主導性)과 학습, 6) 컨설티가 상황과 맥락에 대해 이해하고 피드백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시숙성(時熟性), 7) 개입 효과를 높이기에 결정적인 기회를 포착하는 적시성(適時性), 8) 한계 상황에 봉착한 컨설티의 관점을 전환하는 개입의 직면성(直面性), 9) 컨설턴트의 개입으로 인한 부정적인 반응과 오류를 인지하고 오류를 효과적인 컨설팅의 자료로 활용하는 오류의 활용성, 10) 컨설턴트 스스로의 한계를 인정하고 문제 상황을 컨설티와 공유하는 것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체계를 개발하고, 특히 Schein의 과정 컨설팅의 목적인 문제 해결과 컨설티의 학습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학교 컨설팅 전반에서 의사소통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규명하여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을 도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학교 컨설턴트의 역량 전반을 다루지 못하였고 교육적 의사소통 역량만을 체계화하여, 일반적 의사소통 역량이나 다른 공통역량, 컨설팅 역량과의 관계성과 상호보완적인 면이 충분히 드러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영문 초록

The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is one of the major factors for successful school consulting.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is emphasized as a core competency because it is critical for the principle and process of consulting.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with a specific focus on elucidating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based on Schein’s Process Consultation perspective. The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can be categorized into common competency and professional consulting competency as a consultant. The common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s include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ynthetic thinking, utiliz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technolog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The consulting competency consists of field specialty on school field and school education, process specialty for consulting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and consulting ethics meaning confidentiality, sincerity, and autonomy in consulting.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 is classified as common competency, and consists of general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which has been derived from Schein’s consultation principles. The general communication competency includes writing, speaking, reading, and listening ability for effective delivery and understanding of messages, and discussion and moderation ability for narrowing the gap of opinions.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is composed of sub-factors that identify the purpose and content of communication based on Schein's consulting principles: 1)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orming mutually helpfu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2) presentness of communication based on consultee’s now-here, 3) accuracy of communication, 4) awareness of the intervention influence, 5) consultee's agency and learning, 6) giving the consultee tim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context and to provide feedback, 7) timeliness that captures important opportuniti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8) confronting intervention that changes the perspective of the consultee facing a constrained situation, 9) recognizing negative reactions and errors consultant's intervention and using them as data for effective consulting, 10) acknowledging the consultant's own limitations and sharing problem situations with consulte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veloping a school consultants’ competency model and, in particular, deriving education communication competency, by identify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communication in overall school consulting focusing on problem solving and consultant learning, which are the goals of Schein’s Process Consultation. However, this study could not deal with the whole competency of school consultant and has focused on the education communication competency, therefore, the relationships and complementary aspects with general communication competency, other common competency, and consulting competency, were not fully reveal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Ⅴ.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현주. (2023).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모델 개발: Schein의 과정 컨설팅을 중심으로. 핵심역량교육연구, 8 (2), 47-77

MLA

배현주. "학교 컨설턴트의 의사소통 역량 모델 개발: Schein의 과정 컨설팅을 중심으로." 핵심역량교육연구, 8.2(2023): 4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