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치매 의심군 예측요인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Questionable Dementia Using Bayesian Network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엄성혜 전효정 고은경 이난희 김동진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4권 제4호, 193~22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치매 의심군 선별을 위하여 예측요인을 확인하고 중․장년층의 치매 예방과 조기 맞춤형 개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40∼65세 중․장년층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치매 의심군을 선별하는 예측요인과 경로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로 추출된 결과값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랜덤 포레스트, 그래디언트 부스팅과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베이지안 네트워크 알고리즘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 예측력은 90%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 의심군을 예측하는 변수 중 가장 예측력이 큰 변수는 주관적 기억저하이며, 다음으로 초기부적응도식, 사회적 편안함, 성인애착불안, 치매두려움, 성인애착회피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매 의심군을 나타내는 핵심적 경로는 신경증에서 초기부적응도식과 성인애착불안을 거쳐 치매 의심군으로 이어지는 경로이며, 다음으로 신경증에서 주관적 기억저하, 사회적 편안함, 성인애착불안을 거쳐 치매 의심군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결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치매 의심군의 중요변수와 변수 간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치매에 대한 조기개입 및 맞춤형 정책 마련을 위한 조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screening suspected dementia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provide basic data to prevent dementia and prepare early customized intervention plans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Method: A survey of 85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40-65 years living in Japan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a Bayesian network was used to identify predictors and pathways for screening suspected dementia.
Results: First,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results extracted by the Bayesian network model, the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random forest and gradient boosting,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yesian network algorithm performed the best, with a predictive power of 90%. Second, among the variables predicting suspected dementia,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was subjective memory decline, followed by early maladaptive behavior, social comfort, adult attachment anxiety, dementia fear, and adult attachment avoidance. Third, the core pathway for suspected dementia was identified as neuroticism to early maladaptive behavior and adult attachment anxiety to suspected dementia, followed by neuroticism to subjective memory decline, social comfort, and adult attachment anxiety to suspected dementia.
Conclusion: By utilizing Bayesian networks to explore important variables and pathways between variables in suspected dementia, we can provide a framework for early intervention and customized policies for dementia.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 심각성과 공감적 분노 및 슬픔 간의 관계와 공감적 분노 및 슬픔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대한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 청소년기 학습무동기 변화 유형화와 사회적 영향요인 분석
- 유아의 질문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의 발달과 실행기능의 관계
- 대학생의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냉담의 조절효과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고위험군 남․여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 장애노인의 연령대별 자존감과 삶의 만족의 상호인과적 관계
-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치매 의심군 예측요인 연구
-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