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11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ernal Gatekeeping Scale: Focusing on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박진진 안정신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4권 제4호, 19~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지각 차이를 고려한 영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 및 면접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부산과 경상지역에 거주하는 만 1~만 5세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432부(부 207명, 모 225명)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은 어머니용, 아버지용 모두 문열기, 문닫기, 의사소통의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각각의 요인들이 나타내는 문항들(어머니용: 17문항, 아버지용: 20문항)은 어머니용과 아버지용이 동일하지 않았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부모공동양육 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수렴타당도가 적절함을 확인하였다.결론: 부모의 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개발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 측정 도구는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아버지의 지각 모두 살펴볼 수 있어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aternal gatekeeping scale for parents with infants and toddlers, focusing on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and to validate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e items of measurement were constr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seven parents in a pilot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432 parents(fathers: 207, mothers: 225) with children aged 1-5 years old who were living in the Busan and Gyeongsang areas. They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for maternal gatekeeping: gate opening, gate closing, and communication. The three factors fitted well with both parents; however, not all items representing each dimension were identical for mothers and fathe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al analyses with co-parenting show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s.
Conclusion: The scale could be a useful measure for researchers accessing the perceptions of mothers and fathers regarding maternal gatekeeping behavior.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 심각성과 공감적 분노 및 슬픔 간의 관계와 공감적 분노 및 슬픔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대한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 청소년기 학습무동기 변화 유형화와 사회적 영향요인 분석
- 유아의 질문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의 발달과 실행기능의 관계
- 대학생의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냉담의 조절효과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고위험군 남․여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 장애노인의 연령대별 자존감과 삶의 만족의 상호인과적 관계
-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치매 의심군 예측요인 연구
-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