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이용수 60
- 영문명
- Mediation effects of Actual-Ought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동은수 김은정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4권 제4호, 125~1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20~30대 대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실제-의무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회불안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실제-의무 자기불일치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간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지 않았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실제-의무 자기불일치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간의 관계를 순차 매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20~30대 대학생의 사회불안을 가진 사람의 치료적 개입에 있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뿐만 아니라 실제-의무 자기불일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를 다뤄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actual-ought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Two hundred and twenty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n online survey questionnaire to assess actual-ought self-discrepanc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e responses from the 220 stu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Second, actual-ought self-discrepancy h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actual-ought self-discrepancy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n approach to mediators such as actual-ought self-discrepancy or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in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a person who ha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 심각성과 공감적 분노 및 슬픔 간의 관계와 공감적 분노 및 슬픔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대한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 청소년기 학습무동기 변화 유형화와 사회적 영향요인 분석
- 유아의 질문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의 발달과 실행기능의 관계
- 대학생의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냉담의 조절효과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고위험군 남․여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 장애노인의 연령대별 자존감과 삶의 만족의 상호인과적 관계
-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치매 의심군 예측요인 연구
-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