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Maternal Perceptions of Family Stress Predict Preschoolers’ Sleep Problems: Examining the Role of Mother-Child Sleep Interactions
발행기관
인지발달중재학회
저자명
신혜원 신나나
간행물 정보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어머니와 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 250명이다. 어머니가 모든 문항에 응답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변인 간 경로를 살펴보았다.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세 하위요인인 수면 의존, 수면 갈등, 수면 강화 각각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팬텀변인을 설정한 후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는 유아의 수면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어머니가 가족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유아가 수면문제를 더 보였다.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는 수면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수면 의존과 수면 갈등을 통해 유아의 수면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가 가족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유아와 수면 의존과 수면 갈등적 상호작용을 더 하였으며, 그 결과 유아가 수면문제를 더 경험하였다. 반면 수면 강화는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와 유아의 수면문제 간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결론: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는 유아의 수면문제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수면 의존과 수면 갈등 각각을 통해 유아의 수면문제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문제를 경험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수면 관련 상호작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both the direct impact of maternal perceptions of family stress o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and the indirect impact mediated through mother-child sleep interactions. Methods: A total of 250 mothers of preschool-aged children (3 to 5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mothers completed the surve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pathways between variables. To examine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sleep dependence, sleep conflict, and sleep reinforcement, phantom variables were set up,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pplied for each mediator. Results: Maternal perceptions of family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leep problems, with higher levels of perceived family stress associated with greater sleep problems in preschoolers.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s, maternal perceptions of family stress influenced preschoolers’ sleep problems through sleep dependence and sleep conflict. Specifically, mother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family stress engaged in more sleepdependent and sleep-conflicted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which, in turn, led to increased sleep problems in preschoolers. However, sleep enhancemen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erceptions of family stress and preschoolers’ sleep problems. Conclusions: Maternal perceptions of family stress not only directly contributed to preschoolers’ sleep problems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em through sleep dependence and sleep conflic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guidelines for mothers of preschoolers with sleep problems, particularly in understanding the role of sleep-related interactions in the development of sleep problem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혜원 ,신나나. (2025).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6 (1), 1-19

MLA

신혜원 ,신나나.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6.1(2025):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