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기능검사에 기반한 중증 알츠하이머 치매와 중증 혈관성 치매의 변별
이용수 0
- 영문명
- Discrimination between Severe Alzheimer’s Dementia and Severe Vascular Dementia based on Cognitive Function Test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용숙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1호, 109~12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임상양상은 치료 방향과 임상증상의 이해, 질환의 진행 예측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증 알츠하이머 치매와 중증 혈관성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치매 유형별 인지기능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두 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인지기능의 하위 영역과 두 치매를 변별할 수 있는 영역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중재에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대상자는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55명과 혈관성 치매 환자 15명이었다. 두 집단의 인지기능 비교는 ANOVA 통계를 이용하였고, 치매 분류 정확도는 판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증의 두 치매 집단의 인지기능 비교에서 단어지연재인 영역에서만 혈관성 치매 환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점수가 더 높았고, 나머지 인지기능은 차이가 없었다. 단어지연재인으로 두 집단을 분류한 정확도는 65.7%였다.
결론: 두 치매 집단에서 유일하게 변별력이 있는 인지기능 영역은 단어지연재인이었다. 치매 환자의 중재 방법으로 혈관성 치매 환자에게 단어지연재인을 이용한 의사소통 기법을 고려해볼 만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clinical features of Alzheimer’s dementia and vascular dementia are very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treatment direction, understanding clinical symptoms, and predicting disease progress. This study compared cognitive functions according to dementia type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and vascular dementia. We examined the sub-areas of cognitive functions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the two diseases, the extent to which the two dementias can be differentiated by area, and how this can be used for interven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55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and 15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wo groups was compar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accuracy of dementia classification was determined using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When cognitive func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word-delayed recognition domai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maining cognitive functions. The accuracy of classifying the two groups based on word-delayed recognition domain was 65.7%.
Conclusions: Word-delayed recognition was the only cognitive domain that showed discriminatory power between the two dementia groups. A communication technique using word-delayed recognition can be used as an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