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질문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의 발달과 실행기능의 관계
이용수 53
- 영문명
-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Question-Ask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Executive Function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상아 정지인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4권 제4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가 질문을 활용하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나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능력이 인지적 유연성과 작업기억을 비롯한 실행기능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연구방법: P광역시와 경상남도 Y시에 거주하는 만 4, 5, 6세 유아 102명을 대상으로 스무고개 형식의 질문 게임을 활용하는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 면담에서 유아의 질문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하였다. 질문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질문 유형별 빈도와 질문을 통해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정답을 맞힌 횟수를 살펴보았다. 이외에도 EYT 한국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지적 유연성과 작업기억을 비롯한 실행기능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편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산분석 결과, 연령이 높은 유아들은 연령이 낮은 유아들에 비해 정답 후보를 좁혀나가는 데 필요한 가능성 좁히기 질문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문을 통해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정답을 맞히는 횟수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과 표현어휘의 영향력을 통제하더라도 실행기능은 가능성 좁히기 질문의 빈도 및 정답을 맞힌 횟수와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비효과적 질문의 빈도와는 부적 관계가 있었다. 연령과 표현어휘를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지적 유연성은 가능성 좁히기 질문의 증가 및 비효과적 질문의 감소를 예측하고, 작업기억은 정답을 맞힌 횟수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유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효과적인 질문의 빈도와 질문을 통해 얻은 정보를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정답을 찾아내는 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며, 실행기능이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의 실행기능 향상을 돕는 것이 인지적 측면에서 질문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young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question-ask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ir executive function.
Methods: A total of 102 children aged 4-6 participated in a question game in which they were asked to discover the contents of a box by asking questions. The study quantified the number of questions based on their types (i.e., constraint-seeking, confirmatory, and ineffective question) and assessed the game scores. Additionally,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cluding cognitive flexibility and working memory,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Early Years Toolbox”.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was considered a controlled variable, measured using REVT-E.
Results: The number of constraint-seeking questions and performance scores increased with age. The study also found associations among the number of constraint-seeking and ineffective questions, game score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even when considering age and expressive languages as controlled variables. Furthermore, cognitive flexibility predicted an increase in constraint-seeking questions and a decrease in ineffective questions, whereas working memory predicted an improvement in game scores.
Conclus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question-asking improves in early childhood, and their executive function may play a crucial role in effective questioning and problem-solving.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또래괴롭힘 가해 및 피해 심각성과 공감적 분노 및 슬픔 간의 관계와 공감적 분노 및 슬픔의 또래괴롭힘 방어행동에 대한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실제-의무 자기불일치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 청소년기 학습무동기 변화 유형화와 사회적 영향요인 분석
- 유아의 질문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의 발달과 실행기능의 관계
- 대학생의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냉담의 조절효과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고위험군 남․여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 장애노인의 연령대별 자존감과 삶의 만족의 상호인과적 관계
-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치매 의심군 예측요인 연구
-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지각 차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