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접근법에 근거하여

이용수 53

영문명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Based on Sleeter & Grant's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실행연구학회
저자명
김지나 장인실
간행물 정보
『교육실행연구』제1권 제2호, 57~7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등 학령인구는 매년 줄어들고 있지만 다문화 학생의 수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서울과 안산에는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90%가 넘는 초등학교가 있으며, 농어촌에는 이미 다문화 학생들로만 채워진 분교도 있다. 다문화 학생과의 공존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어버린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과 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담임교사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된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의 접근 방법에 의거하여 어느 수준인지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교실에서의 실행이 어떤 행동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고찰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의 인식은 인종과 문화를 드러내는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사례지 응답 분석의 방법으로 교사 15인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 접근 방법의 단계별 양상을 명확하게 드러낸 교사 6인을 선별하여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교실에서 적용하고 있는지 심층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으로 다른 학생 가르치기 단계의 결핍 지향적 입장을 가지고 있는 교사는 그들의 인식과 실행이 일치하였다. 둘째, 단일집단 연구 및 다문화사회정의교육의 단계를 가지는 교사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이론 및 다문화교육적 접근 단계의 교사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교실에 적용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학생 대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교과서를 포함한 교육 자료의 다국어 지원 서비스,다문화 학생 지도와 관련한 교육 실습 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Sleeter and Grant's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types of behaviors that are manifested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The teachers' awareness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method of case study response analysis, which consists of open-ended questions, to 15 teachers. In addition, six teachers who clearly revealed the step-by-step pattern of Sleeter and Grant's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see how they are apply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eachers who have a deficiency-oriented position at the stage of special student and culturally different professors have a consistent awareness and practice. Second, no teachers who have the stages of single group research and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were found. Finally, it was found that teachers 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tages sometimes have a mismatch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The study suggests the provision of customized programs for multicultural students, multilingual support services for educational materials including textbooks, and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related to guida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during student teach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나,장인실. (2023).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접근법에 근거하여. 교육실행연구, 1 (2), 57-77

MLA

김지나,장인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접근법에 근거하여." 교육실행연구, 1.2(2023): 57-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