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블렌디드 러닝에서 공과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탐색
이용수 57
- 영문명
- Exploring the digital literacy experience of university engineering students in a blended learning contex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정재원 김랑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6권 제4호, 111~12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대학 교육환경에 다양한 형태의 원격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성공적인 원격교육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서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과대학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한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2 년 1학기부터 2023 년 2학기까지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경험하고 있는 공과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데크놀로지의 이해와 활용’, 정보·데이터 탐색과 관리', ‘디지털 윤리와 안전’, ‘능동적 참여', ‘디지털 문제해결' 관련해, 각 영역에서 세부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경험과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위한 디 지털 리터러시 지원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as various forms of distance education have expanded in higher education, digital literacy of university students is being emphasized as a crucial skill for successful dista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experiences of university engineering students.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blended learning classes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2 to the second semester of 2023,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articular difficulties in the following areas : 'understanding and use of technology' , 'information and data exploration and management', 'digital ethics and safety', 'active participation', and 'digital problem sol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pecifically identified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to support digital literacy of university students are discussed.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공과대학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경험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PBL식 플립드 러닝 수업모형 개발
- 블렌디드 러닝에서 공과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탐색
- 대학생의 학습공동제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코로나 19 이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의 구조적 관계: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미래교육 역량모델 개발 연구
- 대학생 집단 특성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분석
- 교수역량 진단에 기반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교육요구도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