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학습공동제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5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이민지 최명숙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6권 제4호, 89~1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성취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협력적 자기조절이 의사소통능력을 매개로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광역시 소재 K대학교의 2023 학년도 1학기 학습공동체 프로그랩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324명의 웅답 자료를 최종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릭, 인지된 성취도의 각 변인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의사소통
능력은 인지된 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적 자기조절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수준의 협력적 자기조절과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갖춘 학습자는 팀원 간의 관계를 개선하고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며, 결과적으로 인지된 성취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조절 능력을 키우는 동시에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 학습공동체 활동의 효과를 높이는 주요한 전략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operative self-regul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on perceived achievement mecliated by communication skill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3 at K University. Out of the collected data, responses from 324 participants were analyzed,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Second, both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achievement. Third, communication skills were found to be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ve self -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In other words, learners with a high level of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tend to improve team dynamics,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 within their teams, and consequently, elevate their perceived achie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lementing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learners '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nd promote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is a key approach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PBL식 플립드 러닝 수업모형 개발
- 블렌디드 러닝에서 공과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탐색
- 대학생의 학습공동제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코로나 19 이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의 구조적 관계: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미래교육 역량모델 개발 연구
- 대학생 집단 특성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분석
- 교수역량 진단에 기반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교육요구도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