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집단 특성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분석
이용수 164
- 영문명
- Differences of Digital Media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김혜진 김옥분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6권 제4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 학년별, 전공별 집단 특성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충청도에 소재한 3개 대학교의 교수학습개발원 홈페이지에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온라인 검사를 탑재한 후, 자발적으로 응답한 대학생 87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t증과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총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학생은 SW 중심 사회 적응 능력이 여학생은 ICT 기본역량과 SNS 활용 및 협업능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 분석 결과, 4학년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총합 수준은 1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하위영역 ICT 기본역량, 기본 업무 활용 능력, SW 중심 사회 적응 능력, 인터넷과 컴퓨터 활용 능력에서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별 차이 분석 결과, 소프트웨어 사회 중심 적응 능력 영역을 제외하고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총합과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by analyzing differences in digital media literacy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by gender, grade, and major. For this purpose, an online test of digital media literacy was installed on the website of the CTLs of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Chungcheong-do. Then t-test and Anova test were conducted on the data of 875 college students who voluntarily respond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digital media literacy by gender, but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W—oriented social adaptation ability, and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CT basic competency and SNS utilization and collaboration ability. The total level of digital media literacy in 4th grad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1st grade. Fur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grade in the subfactors ICT basic competency, basic work utilization ability, SW-centered social adaptation ability, and Internet and computer utilization ability. As a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s by majo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th the total and sub-factors of digital media literacy, except for the software society—oriented adaptive ability factor.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PBL식 플립드 러닝 수업모형 개발
- 블렌디드 러닝에서 공과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탐색
- 대학생의 학습공동제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코로나 19 이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의 구조적 관계: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미래교육 역량모델 개발 연구
- 대학생 집단 특성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분석
- 교수역량 진단에 기반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교육요구도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