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19 이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의 구조적 관계: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55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Trans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 After COVID—19: Focusing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 and Self—efficacy Toward Digital Technolog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권종실 남창우 최정아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6권 제4호, 69~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디지털 기솔에 대한 태도 및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22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응답한 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 및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학생의 디지털 기술에 대한 효능감은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효능감을 부분매개하여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디지털 관련 특성에 기반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digital technolog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their digital trans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420 university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2022'. The study's results revealed that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significantly relationship their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digital technology. Furthermore, students' self-efficacy toward digital technology significantly impacts their digital trans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 whereas their attitudes toward digital technology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dditionally, university students' digital literacy was found to exert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digital trans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 by partial mediating self—efficacy toward digital technolog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s implica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essential aspects of university-level digital literacy education.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PBL식 플립드 러닝 수업모형 개발
- 블렌디드 러닝에서 공과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탐색
- 대학생의 학습공동제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코로나 19 이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의 구조적 관계: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미래교육 역량모델 개발 연구
- 대학생 집단 특성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분석
- 교수역량 진단에 기반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교육요구도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