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의 미래교육 역량모델 개발 연구
이용수 106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Future Education Competency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이지연 김미화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6권 제4호, 43~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의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근거모형을 제공하고자,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미래교육 역량에 초점을 맞춘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교수자 대상 FGI 등에 기반하여 역량모델 초안을 도출하였다. 모델 타당화를 위해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개별화 학습, 현장기반 학습, 융합적 학습, 적응적 학습의 4개 범주별로 각각 3개 역량(총 12 개 역량)으로 구성된 최종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도출된 역당별로 교원양성기관의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도권 A대학 사범대학의 교수자 23명, 학습자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설문자료는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자들은 융합적 학습을 위한 ‘디지털/테크놀로지'역량을, 학습자들은 개별화 학습을 위한 ‘사전진단/요구분석' 및 ‘수준별 학습활동' 역량을 각각 예비교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갖추어야 할 미래 교수학습역량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foundation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oriented curricula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by focusing on the future educational competencies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ollege of education faculty were conducted to derive a preliminary competency model. The model, validated through a two-round expert Delphi study, comprises four categories: personalized learning, authentic learning, convergent learning, and adaptive learning, each consisting of three competencies, making a total of 12 competencies. To compare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se competencies among the instructors and pre—service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3 faculty members and 396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t University A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structors prioritized digital/technology convergence competency (in convergent learning category), while students identified pre-assessment/needs analysis and customized learning activities competencies (in personalized learning category) as the most crucial for pre—service teachers.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PBL식 플립드 러닝 수업모형 개발
- 블렌디드 러닝에서 공과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경험 탐색
- 대학생의 학습공동제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의사소통능력, 인지된 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코로나 19 이후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전환 수용 의도의 구조적 관계: 디지털 기술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미래교육 역량모델 개발 연구
- 대학생 집단 특성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차이 분석
- 교수역량 진단에 기반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교육요구도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