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1
- 영문명
- Effect of Lifestyle Risk Factors on Daily Life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임영명 박지혁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2권 제4호, 111~12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5년 노인코호트 database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독립변수로 설정한 라이프스타일의 위험요인은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 격렬한 운동, 중간정도 운동, 걷기 운동에 대한 변수를 분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 활동 그리고 인지기능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일상생활과 인지기능은 t -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과 일상생활 활동, 인지기능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 분석(Pearson 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기본적/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기본적 일상생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과 걷기 운동이었으며, 설명력은 1.7%로 나타났다.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은 연령과 음주, 걷기 운동이었으며, 설명력은 2.6%를 보였다. 그리고 인지기능은 성별과 연령, 체질량지수, 격렬한 운동과 걷기 운동이었으며, 설명력은 5.3%로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들에서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생물학적 노화에 직면한 노년기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 개선 및 유지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o identify the effect of lifestyle risk factors on the daily activities and cognition of the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5 geriatric cohort database.
Methods : Lifestyle risk factors were defined as body mass index (BMI), smoking, drinking, vigorous exercise, moderate exercise, and walking, and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cognitive function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DL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sex and age were analyzed using a t -test and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between lifestyle risk factors, ADL, and cognitive function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ir influence.
Results : The factors affecting basic ADL (BADL) were sex and walking exercise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1.7%. Instrumental ADL (IADL) included age, drinking, and walking exercise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6%. Cognitive function included sex, age, BMI, vigorous exercise, and walking,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3%.
Conclusion : Lifestyle risk factors partially affected BADLs/IADLs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is suggests the need to systematically manage lifestyle risk factors to improve and maintain the healthy lives of older adults facing biological ag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 및 실태조사: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중심으로
- 아동의 작업 연구주제어의 사회연결망 분석
-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이 뇌졸중 환자의 구강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인권감수성 조사연구
-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서 놀이의 매개효과
-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조사: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 국제기능장애 건강분류: 아동 청소년 버전을 이용한 개별화교육지원팀 중재목표 분석 및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원으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 체계적 고찰
- 라이프스타일 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과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