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라이프스타일 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과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
이용수 330
- 영문명
- Conceptual Model of Establishing Lifestyle (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 and Lifestyle Intervention Strategies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지혁 박혜연 홍익표 한대성 임영명 김아람 남상훈 박강현 임승주 배수영 진연주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2권 제4호, 9~2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라이프스타일-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은 라이프스타일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해 준다. 라이프스타일은 결정, 실행, 습관화 단계를 거쳐 형성된다. 결정 단계는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이고, 실행 단계는 실제로 활동과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두 단계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습관화라고 한다. 라이프스타일 형성 단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환경, 자원, 개인적 요소로 구분된다. 환경은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사회적 환경, 물리적 환경, 문화적 환경, 가상적 환경이 포함된다. 자원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건강적 자원, 시간적 자원, 경제적 자원, 사회적 자원 등으로 분류된다. 개인적 요소는 역량, 욕구, 가치가 포함된다. 역량은 할 수 있는 능력, 욕구는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의 차이, 가치는 개인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뜻한다. 라이프스타일의 형성 단계에서 환경, 자원, 개인적 요소는 각 단계별로 서로간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전반적 과정을 흔드는 것을 사건이라고 하며, 개인적 사회적 사건을 모두 포함한다. 건강과 관련된 라이프스타일 요소는 신체활동, 식습관, 사회관계, 활동 참여이며, 이것들이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목표이다. Lifestyle-DEPER 모델을 기반으로 한 중재 전략 KEEP (지식, 경험, 평가, 계획[Knowledge, Evaluation, Experience, Plan])은 라이프스타일 형성 단계와 영향 요소들을 다면적으로 고려한 건강을 위한 중재 전략이다. 본 문헌을 통해 Lifestyle-DEPER 모델을 소개하고,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KEEP)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를 통해 Lifestyle-DEPER 모델과 KEEP 전략은 타당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s, Environment, Resources) model explains lifestyle formation. Lifestyles are shaped through the decision, execution, and habituation stages. Factors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of a lifestyle are categorized as environmental, resource, and personal. The environment encompasses our surroundings and social, physical, cultural, and virtual environments. Resources refer to what individuals possess, such as health, time, economic, and social resources. Personal factors include competencies, needs, and values. At the lifestyle establishment stage, each of these factors influences a different stage. These collective processes are referred to as events, encompassing both personal and social events. Health-related lifestyle factors include physical activity, nutrition, social relationships,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These are the goals of lifestyle intervention. The intervention strategy based on the Lifestyle-DEPER model, called KEEP (Knowledge, Evaluation, Experience, Plan),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omoting a healthy lifestyle by considering lifestyle formation stag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introduces the Lifestyle-DEPER model and presents a lifestyle intervention strategy (KEEP) to promote health.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validate the practicality of the model after applying interventions based on the lifestyle construction model.
목차
Ⅰ. 라이프스타일의 정의
II. 라이프스타일의 형성 과정
Ⅲ. 라이프스타일의 영향 요인
Ⅳ. 건강 관련 라이프스타일 요소
V.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위한 핵심 중재 전략
Ⅵ.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 및 실태조사: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중심으로
- 아동의 작업 연구주제어의 사회연결망 분석
-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이 뇌졸중 환자의 구강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인권감수성 조사연구
-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서 놀이의 매개효과
-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조사: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 국제기능장애 건강분류: 아동 청소년 버전을 이용한 개별화교육지원팀 중재목표 분석 및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원으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 체계적 고찰
- 라이프스타일 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과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