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107

영문명
Association Betwee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cusing o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발행기관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안현서 김인혜 윤소현 박혜연
간행물 정보
『재활치료과학』제12권 제4호, 81~9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을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이 건강증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라이프스타일 영역별 건강증진행동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은 비동거 가족, 친인척, 친구, 이웃의 4가지 관계망을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인 관계망 크기와 접촉빈도, 기능적 특성인 사회적 지지를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동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이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사회적 관계망 크기는 친구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으며,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지는 비동거 가족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동은 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생산적⋅사회적 활동 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수준에 따른 건강증진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건강증진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웃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증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우울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델은 37%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증진행동 촉진을 위해서는 이웃의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정책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 Social networks based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by lifestyle were measured in 226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65 years and ov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 independent t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 The network size was the highest in the friend network, and the frequency of contact and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in the non-living family network.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highest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owest for productive and social activities. All subfactors of social network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as the variable with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gender and depression were also influencing factors, and this model showed 37%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 To promote healthy behaviors of older adultsin the community,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related policies considering social networks centering on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is requi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현서,김인혜,윤소현,박혜연. (2023).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재활치료과학, 12 (4), 81-96

MLA

안현서,김인혜,윤소현,박혜연.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재활치료과학, 12.4(2023): 8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