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조사: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이용수 66
- 영문명
- Survey About Current Statu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Focus on Pediatric and Adolescent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정수 민경철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2권 제4호, 67~8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장애 소아 청소년을 치료 중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만족도, 수가 체계, 대상, 시행, 평가 활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대상자, 만족도, 치료 시행 및 평가 활용 등을 조사하였다. 실태, 대상자, 만족도 등은 빈도 및 기초 통계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물리치료 참여도-난이도,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주요 요소의 중요도-본인의 능력, 주요 치료 목표-사용 빈도 차이는 대응 표본 T 검정을 통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는 대부분 독립된 공간(95.0%)에서 하루 11~15건(66.7%), 1대 1 치료 (95.0%)로 진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주요 연령은 학령기, 학령전기, 진단은 뇌병변, 발달 지연이 많았으며 20대 이상까지 치료하였다.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만족도는 높았으나(70.0%) 업무강도 역시 높았다(71.7%). 주요 치료법으로는 신경발달치료, 보행치료, 목표지향적 재활이 있으며, 평가는 대동작기능검사 88과 66, 대동작기능분류검사 사용이 많았다. 현 수가 체계는 부적합하다고 하였으며(66.1%), 적정 수가 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와 관련된 광범위한 내용과 요소를 확인하였다. 현 실태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의 전문성 및 지속성 향상, 최신 치료법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therap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Sixty questionnaires from physical therapists trea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physical therapy,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the assessment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i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articipants, and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therapy participation difficulty, importance-ability of major aspect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and therapy goal frequency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 11 to 15 cases (66.7%) and one-on-one treatment (95.0%) were performed independently (95.0%). The main ages of the subjects were preschool and school, the diagnoses were brain lesions and developmental delay, and treatment was conducted for up to 20 years or older. Satisfaction with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was high (70.0%), as was the intensity of work (71.7%). Neurodevelopmental therapy, gait training, and goal-directed rehabilitation were the main treatments, 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s of 88 and 66, respectively, were used. Respondents said that current fee system is inadequate (66.1%) and appropriate fee system is needed.
Conclusion : This study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content of and factors related to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efforts to improve the expertise and continuity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ists and apply the latest treatment techniques are requi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 및 실태조사: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중심으로
- 아동의 작업 연구주제어의 사회연결망 분석
-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이 뇌졸중 환자의 구강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인권감수성 조사연구
-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서 놀이의 매개효과
-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조사: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 국제기능장애 건강분류: 아동 청소년 버전을 이용한 개별화교육지원팀 중재목표 분석 및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원으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 체계적 고찰
- 라이프스타일 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과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