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서 놀이의 매개효과
이용수 50
- 영문명
- Mediation Effect of 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Habits and Cognitive Problem-Solving in Toddlers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이민규 진연주 오승재 홍익표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2권 제4호, 97~10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 간의 관계에서 놀이의 매개효과 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한국아동패널의 3차년도(2010년) 자료를 활용하여 주요 연구변수에 결측치를 제외한 총 1,73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영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문제해결 능력, 놀이의 관계를 검증하고, 놀이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 포함된 유아기 아동의 월령은 23~32개월로 26개월이 584명(33.7%)으로 가장 많았으며, 남자는 885명(51.0%), 여자는 849명(49.0%)으로 나타났다. 수면 습관 3문항(1문항 제외), 놀이 5문항, 문제해결 능력 6문항으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모형이 우수한 모형 적합도를 보였다. 놀이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간접효과(𝛽 = 0.137, p = .006)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수면 습관이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직접효과(𝛽 = -.015, p = .871)와 총 효과(𝛽 = 0.122, p = .057)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수면 습관이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에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이는 놀이가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완전 매개효과(full mediation effect)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잘못된 수면 습관은 인지적,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으로 적절한 발달의 걸림돌이 되어 전생애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유아기 아동이 효과적인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좋은 수면 습관을 만들고 수면의 긍정적인 효과가 다양한 놀이 참여의 기회를 촉진하여 아동의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성인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s' sleep habits and problem-solving.
Methods : In total, 1,734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3rd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utili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oddlers’ play, sleep habits, and problem-solving,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Results : The monthly age of the study participants ranged from 23 to 32 months, with 885 (51.0%) boys and 849 (49.0%) girls. The indirect effects of play on problem-solving skills (β = 0.137, p =.00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s of sleep habits on problem-solving skills (β = -.015, p = .871) and the total effect (β = 0.122, p = .057)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d that sleep habit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oblem-solving ability, but that the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and fully mediated by play. Incorrect sleep habits can negatively affect lifelong development. Therefore, parents would need to be aware of whether their child is developing good sleep habits during the toddler ag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건강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 및 실태조사: 신체기능 향상 중재를 중심으로
- 아동의 작업 연구주제어의 사회연결망 분석
-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이 뇌졸중 환자의 구강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인권감수성 조사연구
-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서 놀이의 매개효과
-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조사: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재활병원을 중심으로
- 국제기능장애 건강분류: 아동 청소년 버전을 이용한 개별화교육지원팀 중재목표 분석 및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원으로서 작업치료사의 필요성: 체계적 고찰
- 라이프스타일 형성 모델(Lifestyle-DEPER [Decision, Execution, Personal Factor, Environment, Resources])과 건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중재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