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MX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이용수 122
- 영문명
-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Turnover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윤혜림 문동철 박지원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5권 제3호, 165~206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LMX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국내 양적연구 문헌들을 종합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수립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LMX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살펴 본 국내 양적연구의 특성(연도별 연구 수, 연구대상, 연구방법, 측정도구, 연구결과)은 어떠한가? 둘째, LMX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관련 변인(선행/종속변인, 매개/조절변인)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연구한 KCI 등재 학술지 61편을 선정하여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5년부터 꾸준히 연구되어 오고 있으며 일반 기업은 물론이고 관광 및 서비스업 종사자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둘째, 횡단연구와 개인수준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셋째, 이직의도는 연구에 따라 다양한 측정도구가 사용되었고, LMX의 경우에는 두 가지 측정 도구가 주로 사용되었다. 넷째, LMX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다룬 연구에서 LMX가 독립변인으로 활용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조절변인으로 활용된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LMX가 독립이나 매개변인일 때는 개인이나 직무와 관련한 변인이, LMX가 조절변인일 때는 리더나 동료, 조직과 관련된 변인이 함께 연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quantitative studies published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quantitative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turnover intention (the number of studies, research subjects, methodologies, measurements, and findings)? Second, what are the related variables (antecedent, dependent, and mediating, moder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turnover intention?
To address these research questions 61 articles from KCI-indexed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udies have been consistently conducted since 2005, not only in general business settings but also in the tourism and service industries. Second, a majority of studies were cross-sectional and conducted at the individual level. Third, various measurements were used for turnover intention, while two main measurements were predominantly used for LMX. Fourth, the majority of research on the LMX and turnover intention relationship utilized LMX as an in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its usage as a moderating variable. Fifth, when LMX was used as an independent or mediating variable, individual or job-related variables were often included, while LMX was a moderating variable, variables related to leaders, colleagues, and organizations were frequently includ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행정직 역량모델링 연구: 순위합법 및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 LMX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개발인력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 학습 활동을 매개로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시대 HRD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학습 촉진과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시사점
- 팀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와 주도적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 조직 개발 관점에서 조직 내 코칭 활용 연구 동향 분석: 2011년~2021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