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행정직 역량모델링 연구: 순위합법 및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22

영문명
A Study on Competency Modeling of University Staff: Focusing with Rank Sum Method and on National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기업교육학회
저자명
이찬 조해성 김채린 한진규
간행물 정보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5권 제3호, 99~13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행정직의 직무공통역량을 도출하고 역량별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분석과 국·내외 대학 역량모델 벤치마킹을 통해 대학 행정직 직무공통역량후보군을 구성하였고, 검토과정을 거쳐 총 32개의 직무공통역량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직무공통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대학 행정직 302명의 설문조사 응답을 분석하였다. 응답 분석 시 응답자가 필요수준을 기준으로 응답한 1순위부터 5순위까지의 역량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역량별 필요수준 점수를 산출하였다. 역량별 우선순위는 필요수준 점수의 합이 높은 순서대로 부여하고, 역량별 우선순위 부여 결과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 검토를 진행하였다. 32개의 직무공통역량 중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다섯 개 역량은 의사소통, 문제해결, 책임감, 협업, 대학행정 전문성으로 확인되었다. 직급별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고위관리자, 중간관리자, 실무자로 구분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고위관리자와 중간관리자가 인식하는 상위 다섯 개 역량은 의사소통, 문제해결, 기획력, 책임감, 협업으로 동일했으나 다섯 개 역량 간 우선순위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실무자는 의사소통, 문제해결, 책임감, 협업, 대학행정 전문성으로 순으로 응답하여 관리자 직급과 인식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과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대학은 대학 행정직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새롭게 요구되는 역량들을 육성하기 위한 인재육성체계 수립과 함께 대학 행정직의 직무체계 개편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mmon competencies for university staffs and analyze the priorities of each competency. Candidates of job competencies for university staff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benchmarking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iversity competency models. Through review process, total of 32 competencies were selected from the candidates. The survey responses from 302 university staffs were analyzed to derive the priorities of the selected common competencies. In analyzing stage, score for each copetency was derived from weighted sum of respondents’ top 5 needs. Prioritization of competencies was done in the order of the derived scores, and expert review was conduct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prioritization results. Of the 32 common competencies, the top five competencies were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ccountability, collaboration, and administrative expertise.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y job level, we have divided university staffs into executives, middle managers, and staff. As a result, while the top five competencies perceived by executive and middle managers were the same: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planning and responsibility, and collaboration, the order of priority priorities among the those top five competencies were different. Staffs’ choice of competency priority in the order of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responsibility, collaboration, and administrative expertise, showing a difference in perception from the managerial position. Based on the competencies and priorities identifi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ie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university staffs, establishing a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to adopt newly required competencies, and consider reform of job struc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찬,조해성,김채린,한진규. (2023).대학 행정직 역량모델링 연구: 순위합법 및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5 (3), 99-130

MLA

이찬,조해성,김채린,한진규. "대학 행정직 역량모델링 연구: 순위합법 및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5.3(2023): 99-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