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직 개발 관점에서 조직 내 코칭 활용 연구 동향 분석: 2011년~2021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이용수 100
- 영문명
- The Research Trends of Coaching Used in Korean Organiz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 Development: Focusing on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1 to 2021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홍순미 장환영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5권 제3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직개발 관점에서 국내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코칭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조직 환경에서 코칭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었는지, 조직 내 코칭 활용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조직에서 보다 현장성 있고 효과적인 코칭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과 코칭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논문 선정을 위해 PRISMA 지침을 따라 진행하였고 최종 선정된 154편의 내용 분석 결과 연구동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조직 내 코칭활용 연구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내 코칭활용 방식은 보편적인 전문코칭보다 코칭행동이나 코칭리더십 등 코칭접근법 활용 방식을 활용한 연구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그중에서도 코칭리더십 활용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었다. 셋째, 조직 내 코칭 활용 목적을 조직개발 개입 범주에서 볼 때, 인적자원관리 차원의 개인역량개발 개입에 집중되어 활용되고 있었고, 성과관리 면과 인적프로세스 차원의 소통과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도 지속적으로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은 사기업의 일반기업체 종사자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최근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세분화된 조직유형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고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개발 관점에서 국내 조직 내 코칭 활용 연구 동향을파악함으로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나아갈 연구 방향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s on coaching research by analyzing published articles about coaching used in Korean organiz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 development. The PRISMA guidelines were followed for the selection of analysis papers and finally 154 articles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coaching applied within the organization showed a steady increase in the last five years. Second, as for the types of using coaching within the organization, the research applying coaching approach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doing coaching. Among them, the research on the use of coaching leadership continued to increase. Third, when looking at the purpose of coaching utilization in the viewpoint of the organization development intervention categories, coaching was mostly utilized as the individual competence development intervention for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purpose. Fourth, analysis based on research contexts showed that most studies included general private companies as study subjects. Based on theses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is field were suggested as a conclusion.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행정직 역량모델링 연구: 순위합법 및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 LMX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개발인력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 학습 활동을 매개로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시대 HRD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학습 촉진과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시사점
- 팀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와 주도적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 조직 개발 관점에서 조직 내 코칭 활용 연구 동향 분석: 2011년~2021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