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개발인력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 학습 활동을 매개로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on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ersonnel in Public Sectors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조용민 변호승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5권 제3호, 131~16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개발인력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무형식 학습활동, 혁신적 업무행동에 대한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 무형식 학습활동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정규직 R&D인력을 대상으로 서면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271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SPSS26, Process Macro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개발인력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무형식 학습활동, 혁신적 업무행동에 대한 인식수준은 40대 이상 책임급 남성 박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개발인력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다만,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하위요인으로서의 가치지향성은 혁신적 업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무형식 학습활동은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개발인력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혁신적 업무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개발인력 특화경력개발 지원체계 구축, 소규모·혁신적 연구과제 참여기회 부여, 소통 중심의 연구개발인력커뮤니티 활성화 등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개발인력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강화하고, 기존의 형식 학습과는 다른 무형식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새로운 학습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 level of protean career attitude o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of R&D personnel.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n e-mail and mobile survey were carried out from 4.1 to 4.15 2021 targeting R&D personnel working at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specific research institut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rea. A total of 275 responses were collected; 271 qualified answ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demonstrate (1)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level of protean career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2) the significant mediating role of learning with others, self-experimentation, external scan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level of protean career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행정직 역량모델링 연구: 순위합법 및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 LMX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과학기술분야 공공연구개발인력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 학습 활동을 매개로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시대 HRD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학습 촉진과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시사점
- 팀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팀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와 주도적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 조직 개발 관점에서 조직 내 코칭 활용 연구 동향 분석: 2011년~2021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