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에 대한 메타인지중재 효과: 체계적 문헌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Effects of Metacognitive Intervention on Execu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 Systematic Reivew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정철훈 권재성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2호, 111~1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에 대한 메타인지중재 효과를 연구한 무작위 임상대조군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중재 내용을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최신의 근거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검색 엔진으로 PubMed, Excerpta Medica Database(EMBASE), Cumulated Index in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한국교육학술정보원(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사용하여 2015년 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출판된 국내ㆍ외 문헌 을 검색하였다. PRISMA checklist에 따라 문헌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7편의 문헌을 분석하였고, PICOS 방식을 사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은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연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 였다. 결과 : 검색된 611편의 문헌 중 7편(n = 347)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7편 모두 ‘좋음’ 이었다. 집행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및 참여 평가에서 중재 이후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중재는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Error-Based Learning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후천적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인지중재 연구들 중, 잘 설계된 무작위임상대조 군연구를 선정하고 분석하여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연구의 근거수준을 높였다는 점에서 임상적인 의 미가 있다. 그러므로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를 다루기 위한 메타인지중재를 제공하는 과정 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atest evidence for the role of metacogni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execu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cquired brain injury(ABI). To this end,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Korean and internation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extracted intervention details, and analyzed the results. Methods: This study used PubMed, EMBASE, CINAHL, KCI, KISS, and RISS to search for Korean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published from January 2015 to November 2022. Seven studi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PRISMA checklist,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using the PICOS method. The PEDro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elected studies. Results: Of the 611 retrieved studies, seven were selected (n = 347), which were all “good” in quality. In assessments of execu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articipation, the intervention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were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Error-Based Learning Conclusion: This study is clinically significant as we have improved the level of evidence power for metacognitive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ABI by selecting only well-designed RCTs. In summar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o support the use of metacognitive intervention to treat execu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BI.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ppendix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에 대한 메타인지중재 효과: 체계적 문헌연구
- 노인의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서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작업치료사의 두려움과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측정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치매 보조기기 국외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