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서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이용수 34
- 영문명
- Autobiographical Memory Function as a Related Factor to Resilience of Older Adult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상미 이창대 김정란 김태희 박지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2호, 81~9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수준을 측정하고, 자서전적 기억 기능 과 회상기능, 회복탄력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60세 이상의 인지적⋅정신적으로 건강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 회복탄력성, 회상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한국형 자서전적 기억 기능 평가 척도, 한국형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 노인 회상기능 척도를 적용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 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 분석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3.14세(Standard Deviation; SD = 7.59)였다 (n = 121). 자서전적 기억의 기능적 사용 평균은 1.99점(SD = 0.72) 이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 .32). 자서전적 기억 기능과 노인 회상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 관관계를 보였다(p < .001).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특성을 통제하고도 자서 전적 기억 기능은 회복 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β = 0.229, p < .05), 회 복 탄력성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 기능의 설명력은 4.2% 였다. 결론 : 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 확인되었다. 자서전적 기억의 기능적 사용이 노인의 건강 에 미치는 유익에 대한 근거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울집단이나 인지저하집단과 같은 보다 다양한 건강수준의 샘플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기억 기능을 측정하고 건강변수와의 관계를 밝히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autobiographical memory function (AMF)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o analyze its association with reminiscence function and with resilien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cognitive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older adults aged 60 years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The Korean Version of Thinking About Life Experiences,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Reminiscence Functions Scale for the Elderly were used to measure AMF, resilience, and reminiscence function, respective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3.14 years (SD = 7.59) (n = 121). The mean score of AMF was 1.99 (SD = 0.72). AMF tended to decrease with age (p = .32). AM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miniscence functions (p < .001).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AMF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ilience (β = 0.229, p < .05). AMF explained 4.2% of the variance in resilience.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AMF is a related factor to the resilience of older adult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measure AMF with various samples, including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and cognitive decline, and to analyze it’s association with health-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support the advantage of AMF in older adults’ heal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ppendix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에 대한 메타인지중재 효과: 체계적 문헌연구
- 노인의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서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작업치료사의 두려움과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측정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치매 보조기기 국외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