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이용수 33
- 영문명
- Item-Level Psychometrics of the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남상훈 진연주 주유미 강수라 배수영 유제광 홍익표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2호, 97~10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인지선별검사(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 도를 조사고하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일반인 대상으로 CIST에 응답한 32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총 321명이 응답 완료한 CIST 자료를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일차원성 및 지역 독립성(local independence)의 가정을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일차원성 및 지역 독립성의 가정을 완료한 항목을 통해 라쉬 모형 중 부분점수모형(Partial Credit Model; PCM)을 적용 하여 항목 적합도, 항목 난이도 계층적 구조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항목 간에 개인 특성으로 인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차등항목기능을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80.48세(SD = 6.59)였으며, 남성이 45명(14.02%), 여성이 276명(85.98%)이었다. 본 연구의 신뢰도 분석 첫 번째 단계로 진행한 CIST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일차원성과 지역 독립성 가정을 모두 충족 하였다. 두 번째로 진행한 라쉬 분석을 통해 분석된 항목 적합도는 6개 영역 모두 적합(0.6 < MnSq < 1.4, -2.0 < ZSTD < 2.0)하였으며, 가장 쉬운 항목은 지남력, 가장 어려운 항목은 집행기능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성별에서 차등항목기능이 주의집중력 항목에서만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를 분석하여 CIST가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인지선별검사 도구로 적절한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IST를 사용하는 연구자 및 임상 가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CIST).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321 people who responded to the CIST for older adults living in Seoul City.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the unidimensionality assumption and local independe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econd, the partial credit model (PCM) among the Rash model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item fit and item difficulty. Thirdly, the differential items function was investigat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items due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Finally,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using the CIST and depression screening tool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 was 8048 (SD = 6.59) years, and there were 45 (14.02) males and 276 (85.98) females. Results of CIST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CIST's factor analysis, unidimensionality and local independence were assumed. Second, item fit through Rasch analysis was found to be fit for all six domains (0.6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에 대한 메타인지중재 효과: 체계적 문헌연구
- 노인의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서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작업치료사의 두려움과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측정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치매 보조기기 국외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인용하기
APA
남상훈,진연주,주유미,강수라,배수영,유제광,홍익표. (2023).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1 (2), 97-109
MLA
남상훈,진연주,주유미,강수라,배수영,유제광,홍익표.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1.2(2023): 97-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