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측정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31
- 영문명
- Health-Related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진연주 홍익표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2호, 31~4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연구에서 적용한 평가도구의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측면 및 하위요인의 분류 및 고찰을 통해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자료수집은 PubMed,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social support assessment”, OR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OR “social support scale” AND “older adults” AND “community dwelling” AND “health”를 사용하였다. 결과 : 총 3,897편의 연구 중 최종적으로 24편의 문헌이 선정되었고, 선정된 문헌에서 14개의 사회적 지 지 평가도구가 포함되었다. 사회적 지지 개념적 측면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는 총 14 개 중 8개(57%)가 포함되었다. 평가도구의 하위요인은 사회적 지지의 개념적 측면의 기능과 제공 및 수혜 형태의 복합적인 요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의 특성, 측면 및 하위요인을 분류하 여 제시하였으며, 표준화된 사회적 지지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social factor that affects the maintenance of health and recovery from disease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relationships of the older adults. The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health-related social support study and assessment tools that have been used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2, we searched for the studies related to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by using the PubMed,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atabases. The search terms were ‘social support assessment’ OR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OR ‘social support scale’, ‘older adults’, ‘community dwelling’ AND ‘health’. Results: A total of 3,897 studies were extracted, and finally 24 studies and 14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Among the social support concepts, the eight assessment tools (57%) were included to measure perceived social support.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a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that can measure the health-related social support assessment tool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에 대한 메타인지중재 효과: 체계적 문헌연구
- 노인의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서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작업치료사의 두려움과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측정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치매 보조기기 국외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herbal medicine in male factor infertility (Oligoasthenoteratozoospermia) - A case report
- Exploring the Language Education Enjoyment Scale and Its Impact on Learner Engagement
- Bangpungtongsung-san reduces the express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by blocking activating protein-1 activity in stimulated human mast cel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