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이용수 22
-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Development of Driving Education Record for the Disabled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정유경 김정란 최준수 공명자 박경영 정민예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2호, 15~2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장애인 운전교육 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운전교육통합서식지를 개발하고자 실시 하였다. 방법 : 실행연구 모형에 따라 계획, 실행, 관찰, 반성 과정을 통해 서식지를 개발하였다. 장애인 운전교육 을 담당하는 연구 참여자(운전재활지도사)들과의 면담, 교육관찰 및 보유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 며, 질적 분석의 일반적인 절차를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운전재활지도사들과 운전재활 분야 전문가들의 의 견을 반영하여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과정별로 분리되어 있는 서식지를 통합하여 운전 교육통합서식지로 개선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립재활원의 장애인 운전교육 현장에서 사용하는 서식지를 개선하는 과정을 실행연구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는 운전교육 기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integrated record sheet of driving educ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drivi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Methods: This study developed a driving education record following the model of a action research through planning, execution, observation, and reflec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driving rehabilitation instructors responsible for disabled driving education, as well as through observations during education sessions and existing recor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ndard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s. Resul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tegrated record sheet for drivi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mprovements could be deriv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driving rehabilitation instructor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driving rehabilitation. Finally, the records separated by process were integrated and valuable input from driving rehabilitation instructors and experts in the field was incorporated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Eventually, the separate record sheets, categorized by process, were integrated and enhanced into an integrated record sheet for driving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record sheet used in the driving education field for the disabled at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as an action research. The integrated record sheet for the drivi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developed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the driving education recor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gnitive Impairment Screening Test (CIST)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에 대한 메타인지중재 효과: 체계적 문헌연구
- 노인의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서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 척수손상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작업치료사의 두려움과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 측정 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치매 보조기기 국외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