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방군인들의 고통체험: 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이용수 2
- 영문명
- Experience the Suffering of Front-line Soldiers: Applied to Parse’s Human Becoming Research Methodolog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장종식 송병남 차태현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2권 제1호, 79~9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전방에서 군 생활을 했던 예비역들이 겪었던 고통의 구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방에서 군 생활을 했던 경험이 있던 예비역 10명과 2013년 3월부터 5월까 지 두 달간 1~2회대화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이 전방에서 경험했던 고통체험에 대하 여 반복되는 이야기나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는 포화상태까지 자료를 수집하 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Parse의 인간되어감 이론의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결과 : 연구결과 전방에서 군 생활을 하며 겪었던 고통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의 생활, 자유가 박탈된 감옥같은 생활, 북한이 언제든 공격할 것이라는 생각 등으로 나타났다. 이 고통체험들은 시간이 지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자신의 인생에 밑거름이 되었고 기 분 좋은 추억으로 남았다. 결론 : 군대에 정신보건 작업치료사들이 전문인력으로 배치되면 군인들의 심리적, 정신 보건적인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군 생활에 잘 적응하고 느끼는 고통을 줄이며, 나아가 자살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at discovering the structure of suffering experienced through the military life ofsoldiers on a front-line. Methods : For this study, conversations with twelve soldiers who experienced military life at a front-line werecarried from March to May 2013. The data were collected up to a saturation point, at which the stories becomerepetitive regarding the suffering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n a front-line, or when no more new contents werediscover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Parse’s humanbecoming theory. Results : As a result this research, the suffering of soldiers at a front-line were from severe cold, a loss of liberty,and worries about imminent attacks from North Korea. Over time, the suffering they experienced in their life andtheir social interactions became essential and remained pleasant memories. Conclusion : Mental health therapists are placed in the military to work professionally with the psychological aspectsof the soldiers, and mental health was shown to positively affect adaption to military life, a reduction in suffering,and the prevention of suicide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치료학 연구자의 연구윤리의식 기초조사연구
- 8주간의 혀-유지 메뉴버 프로그램이 삼킴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
- 진동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 전방군인들의 고통체험: 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 외상성 뇌손상 운전자의 운전능력과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 선천성 뇌성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상운동(mirror movement)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