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 Empathy With Other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박성호 장문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2권 제1호, 15~2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 다. 연구방법 : 부산·경남의 135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 문 기간은 2012년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이었다.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자아존중감 척도와 한국어판 공감지수 척도를 사용 하였다. 결과 : 자아존중감과 인지공감능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 과 공감능력의 하위항목인 사회기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급여에 따라 공감능력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업치료사의 교육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모 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자아존중감이 높은 작업치료사들이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은 클라이언트와 치료사의 치료적 관계를 맺는데 필수적인 요소이 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임상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학생에게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 이고, 클라이언트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steem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empathy with others.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on 135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s from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To measure the self- esteem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 empathy withothers, the self-esteem scale and Korean-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 (EQ) scale were employed. Results :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elf-esteem and cognitive empathy. Significant differences insocial skills, which is a subordinate item of self- esteem and empathy depending on gender, were shown, as were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y depending on wage. In addition, self-esteem and empathy both showed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high self-esteem showed a high understanding of, and empathy toward,other people. Empathy is an essential element for form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a client andtherapis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a proper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s theunderstanding of other people by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nd arousesthe motivation of cli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치료학 연구자의 연구윤리의식 기초조사연구
- 8주간의 혀-유지 메뉴버 프로그램이 삼킴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
- 진동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 전방군인들의 고통체험: 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 외상성 뇌손상 운전자의 운전능력과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 선천성 뇌성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상운동(mirror movement)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