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lecting Rehabilitation Therapy Center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이나핼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2권 제1호, 41~5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과정에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선 택 과정의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 중 현 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의사로부터 자녀가 장애진단을 받 은 후 1년 이상의 재활치료를 경험하였고, 본 연구에 동의한 장애아동 어머니 7명을 대 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이용하였고, 녹음한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는 의미단위 26개와 구성요소 8개, 그리고 주제 3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재활치료의필요성, 재활치료기관 이용 시 어려움, 재활치료기관 선택전략의 주 제로 분석하였다. 재활치료의 필요성은 장애문제의 심각성을 통해 인지하게 되었고, 재 활치료기관 이용 시 어려움은 재활치료기관 이용에 따른 심리적 불편함과 이용 절차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재활치료기관 선택 전략은 치료사의 전문성을 중요하게 생각하 였다. 결론 : 장애아동 부모의 가장 중요한 재활치료기관 선택전략은 치료사의 전문성이다. 다른 선택전략은 근거리, 치료비용, 치료시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 부모들이 겪는 다양한 치료선택과정의경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과정 중에 발생 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관과 현장관계자들이 장애아동부모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치료기관을 운영하고 자 하는 치료사에게 도움을 주는기초 자료가 되 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disabilities in selecting a rehabilitation therapy center and to comprehend the strategies for the selection process. Methods : This study us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a qualitativ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7 mothers of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y underwent rehabilitation therapy for morethan a year after their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a disability from their doctors. Results : This study drew 26 units of meaning, 8 central meanings, and 3 themes. The results were analyzed into 3themes; needs for rehabilitation therapy, difficulty in using rehabilitation therapy centers, and a selection strategyof a rehabilitation therapy center. The needs for rehabilitation therapy include the seriousness of the disability,difficulty in using a rehabilitation therapy center including psychological discomfort, and difficulty of the center’sprocedures, and a selection strategy for the rehabilitation therapy center included the therapist’s expertise. Conclusion :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strategy for a rehabilitation therapy center for parents of children withdisabilities was the therapist’s expertise.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various experiences of parents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lecting a therapy.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치료학 연구자의 연구윤리의식 기초조사연구
- 8주간의 혀-유지 메뉴버 프로그램이 삼킴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
- 진동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 전방군인들의 고통체험: 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 외상성 뇌손상 운전자의 운전능력과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 선천성 뇌성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상운동(mirror movement)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