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상성 뇌손상 운전자의 운전능력과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2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n Driving Ability and Measurement Method of Drivers After a Traumatic Brain Injur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정남해 장문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2권 제1호, 65~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외상성 뇌손상 운전자의 운전능력 측정방법을 분 석하고, 운전능력을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4월∼5월까지 MEDLINE, Ovid, IOS press, OT seeker, Cochrane library, ScienceDirect 데이터베이스에서 ‘automobile driving (Mesh Term), drive, driver ’와 ‘brain injury (MeshTerm), head injury’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10개의 연 구를 선정하였다. 포함연구의 근거수준을 살펴보면 Ⅱ는 8개, Ⅲ은 1개, Ⅴ는 1개이었 다. Down & Black 기준에 따른 방법론적 질을 살펴보면, 완벽과 우수 연구는 0개, 보통 은 3개, 나쁨은 7개이었다. 혼합 연구를 Critical Appraisal SkillsProgram 질적 평가에 따 라 분석한 결과, 우수한 수준이었다. 결과 : 운전능력측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운전시뮬레이터는 8개의 요소, 자가측정보고 는 7개의 요소, 실제도로평가는 6개의 요소로 분석되었다. 요소별 빈도는 보고된 교통 사고(13.3%)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운전능력에 관한 자기지각(10.0%)이었다. TBI 운전자의 운전능력을 분석한 결과, 보고되거나 보고되지 않은 교통사고 빈도가 일반 성 인이나 CVA 운전자보다 높았고, 위험에 대한 속도는 정형외과 질환을 가진 운전자나 일반 성인보다 느렸다. 또한 TBI 비운전자 및 일반 성인보다 스스로의 운전능력에 대해 높이 평가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TBI 환자의 운전능력 평가시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고, TBI 환자의 운전 재개에 있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훈련 및 전략 관 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 method for measuring the driving ability of drivers sufferingfrom a traumatic brain injury. Methods : We systematically searched published studies in MEDLINE, Ovid, IOS press, OT seeker, Cochrane library,and the Science Direct database from April to May 2013. The keywords used in the search were ‘automobiledriving’, ‘drive’, ‘driver’, and ‘brain injury or head injury’. Grade II rated evidence was found from eight studies,and grade III and V rated evidence was found from one study each. The methodological levels of the quantitativestudies were fair (3) and poor (7), and the qualitative study was good (1). Results : The measurements for the driving ability were 8, 7, and 6 based on a driving simulation,self-administration, and a real road test, respectively. The reported traffic accident variable was used mostfrequently (13.3%), and the self- perception of the driving ability was the next frequently used. The results of thedriving ability showed that TBI drivers had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accidents and as a lower response fordangerous situations than normal persons or other patients. TBI drivers rated high in ability to drive on their own. Conclusion : This study presented a variety of variables to use when occupational therapists assess the drivingability for persons with TBI, and proposed that active and consistent training and management for an adaptivestrategy are needed for the resumption of driving with drivers with TBI.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치료학 연구자의 연구윤리의식 기초조사연구
- 8주간의 혀-유지 메뉴버 프로그램이 삼킴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
- 진동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 전방군인들의 고통체험: 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 외상성 뇌손상 운전자의 운전능력과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 선천성 뇌성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상운동(mirror movement)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재설계 프로그램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