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이용수 53
- 영문명
- Relationships between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attituee and multicultural 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남희 임선영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7권 제4호, 169~1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였으며, B와 U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간호학과 학생 2, 3, 4학년 2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는 평균 3.55(.43)점, 다문화 태도는 평균 3.70(.57)점, 다문화 효능감은 평균 3.87(.50)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 인식은 성별, 다문화관련 기사 관심, 해외체류 경험, 다문화권 출신 친구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다문화 태도는 학년, 다문화관련 기사 관심, 해외체류 경험, 다문화권 출신 친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다문화 효능감은 학년, 다문화관련 기사 관심, 해외체류 경험, 다문화권 출신 친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 태도(r=.681, p<.001), 다문화 효능감(r=.601, p<.001)과 정상관관계가 있었고,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 효능감(r=.658, p<.001)과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다문화 태도(β=.449, p<.001), 인식(β=.268, p<.001), 학년(β=-.100, p=.030)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 요인들이 다문화 효능감을 50% 설명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태도 함양을 통하여 다문화 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wareness, attitude and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258 nursing students from 2 Department of Nursing. Data were collected in June-July 2014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scores for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were 3.55±.43, 3.70±.57 and 3.89±.52 respectively. Multicultural awar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multicultural efficacy.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factors that influenced multicultural efficacy were mult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grade. These variables explained about 50% of the total variance of multicultural efficacy. It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impact that factors in the state with little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ignificance was also important to present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multicultural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on this basi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4학년 사회교과의 다문화적 내용요소 분석: 지젝의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과정 정책의 효과: 민족·언어적 소수자 학생의 수학 흥미 및 성취도를 중심으로
- 농촌 거주 다문화가정 아동이 인식한 부모와의 갈등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다문화교육 분야의 교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현황과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 다문화군대에 대비한 한국군의 병영정책 발전방안
- 수업 설계에서 학습자의 다양성 고려 방법 탐색 -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
- 대학생의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멘토링 경험이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