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교육 분야의 교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현황과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이용수 72
- 영문명
- Exploring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teacher-related research in multicultu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훈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7권 제4호, 81~1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교사와 관련된 기존 연구의 동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연구를 위한 향후 과제를 제안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과 ‘교사’를 주제어로 국내 선행연구를 검색하여,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학술논문 212편을 내용분석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개념 및 인식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의 측면에서는 유아교육 분야에서 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에 의한 연구가 주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 본 연구는 연구주제의 다양화를 위한 학계의 노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기존에 널리 소개된 다문화교육 연구 분야의 주요 개념 및 사례를 한국적 맥락에 맞게 연구해 갈 필요가 있고, 연구대상의 확대를 위해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고등학교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관련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연구방법 간의 균형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교사의 경험과 실천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rends in teacher-related research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study and to suggest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he study analyzes 212 teacher-related articl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published from 2003 to 2013. The findings show the most active interest to be in teacher's conceptions and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ost prolific field of study to b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most dominant method of analysis to be the quantitative metho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suggests a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an extension of research objects, and a better balance of research methods.
목차
Ⅰ. 서 론
Ⅱ. 다문화교육 분야의 기존 동향분석 연구
Ⅲ. 연구동향 분석의 방법 및 절차
Ⅳ. 다문화교육 교사 관련 연구의 현황
Ⅴ. 논의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4학년 사회교과의 다문화적 내용요소 분석: 지젝의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과정 정책의 효과: 민족·언어적 소수자 학생의 수학 흥미 및 성취도를 중심으로
- 농촌 거주 다문화가정 아동이 인식한 부모와의 갈등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다문화교육 분야의 교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현황과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 다문화군대에 대비한 한국군의 병영정책 발전방안
- 수업 설계에서 학습자의 다양성 고려 방법 탐색 -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
- 대학생의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멘토링 경험이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