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 여성과 자녀의 유튜브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경험에 대한 이해: 생애사 이야기식 접근으로
이용수 201
- 영문명
-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YouTube among multicultural women and children -Biographical narrative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나은영 유영림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4권 제2호, 113~13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K군의 다문화가정 여성 3명과 자녀 3명을 대상으로 유튜브에 대한 인식과 활용 경험을 살펴 유튜브 리터러시 역량을 제고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Schütze(1983)의 생애사 이야기식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이야기를 생애사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유튜브 영상 시청의 가치를 분별하며 유튜브를 주체적 삶의 동반자이자 터전으로 인식하였다. 유튜브가 삶의 위로이자 기쁨을 주는 희망적인 미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튜브는 이국땅에서 자신의 본국 문화와 음악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서로 다른 문화와 세대를 넘어 모녀가 소통하며 즐거움을 나누게 해주는 공간이었다. 또한 교육경력이 충분하지 않은 다문화가정 여성은 교육경력이 필수가 아닌 공간에서 문화 교류 유튜버를 꿈꾸고 있었다. 하지만 성공한 다문화가정 여성 유튜브의 삶과 자기 삶을 비교하며 불편해하는 연구참여자도 있었다. 더욱이 유튜브 시청 중에 경제적 가치와 상업성에 대한 엄격한 태도를 보이며 영상의 허구성과 진실성을 구별하려고 노력했다. 둘째, 다문화가정 여성과 자녀는 일상에서 중독적으로 유튜브를 활용하고 있지만, 영상 제작과 공유에서는 사생활 보호와 전문성을 우선시했다. 또한 그들의 삶에 깊이 뿌리를 내린 유튜브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친밀감, 유대감을 느끼며 소통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영상 제작 역량을 지녔으나, 여성들은 유튜브를 배울 시간과 기회가 없어 아쉬워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영상 제작과 공유에 있어 사생활 노출에 대해 두려워했지만, 영상 제작과 공유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싶어 하기도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과 교육기관이 다문화가정 여성과 자녀의 유튜브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유튜브의 상업성과 허구성을 구별하고 영상 시청, 소통, 영상 제작, 공유 활동을 통해 공동지식을 쌓으며 미래를 준비하고 경제적 활동의 터전으로 유튜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using Schütze's(1983) biographical narrative approach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YouTube among three multicultural women and three children in K County, within the context of their life stori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y discerned the value of watching YouTube videos and perceived YouTube as an active companion and a realm of engagement i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perceived YouTube as a source of solace, joy, and hopeful future. YouTube was a space where individuals could enjoy their native culture and music while on foreign soil, simultaneously facilitating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shared joy among different cultures and generations. Furthermore, multicultural women with insufficient educational backgrounds envisioned becoming cultural exchange YouTubers on a platform where formal education was not a necessity. In the meantime, the counter productive aspects of YouTube were also mentioned, which make them compare their lives with those of successful multicultural women on YouTube. However, during YouTube viewing, they demonstrated a discerning attitude toward the economic value and commercial aspects, making efforts to distinguish between the fictitious and genuine aspects of videos. Secondly, regarding the utilisation experience of YouTube, multicultural women and children use YouTube in their daily lives, sometimes becoming addicted to it, but prioritising privacy protection and professionalism regarding video creation and sharing. YouTube deeply integrated into their lives, fostering a sense of intimacy and connection with others. While multicultural children possessed video creation skills, women felt a sense of regret due to a lack of opportunities and time for learning. Furthermore, although some participants expressed concerns about privacy exposure in video creation and sharing, some women aimed to help others through video production and shar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by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nhance the YouTube literacy competence of multicultural women and children. These programs should focus on helping them distinguish the commercial and fictitious aspects of YouTube while enabling them to accumulate collective knowledge through video viewing, communication, video creation, and sharing activities, thereby preparing them for the future and utilising YouTube as a platform for economic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학대 사례관리 강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다문화가정 여성과 자녀의 유튜브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경험에 대한 이해: 생애사 이야기식 접근으로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활용한 통합사례관리 슈퍼바이저 교육요구 분석
- 자기효능감이 노인 장기요양기관 이용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관의 농(聾)노인 대상 프로그램 분석연구: 농문화 전승자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 노인 돌봄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인력정책 비교연구: 독일,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