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 돌봄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인력정책 비교연구: 독일,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이용수 263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Labor Policy for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 Car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Germany, Japan and Korea-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김광선 맹상기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4권 제2호, 23~4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 일본 그리고 한국에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돌봄 인력정책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여 미래 인력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고령사회를 먼저 겪은 나라들의 돌봄 정책에 따른 세계사적 흐름에서 정책환경의 변화와 정책산출의 틀로 노인 돌봄 정책과 돌봄 인력정책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세 기반 돌봄과 사회보험 기반 돌봄 사이에서 나라마다 다양한 정책들이 나타났다. 한국과 같은 노선을 먼저 선택한 독일과 일본은 돌봄 인력의 전문성을 고도화하는 한편, 일상 돌봄 수준의 보조 인력들로 이원화하였다. 노인 돌봄 인력의 전문성 강화는 길게 보면 반드시 달성해야 할 목표지만, 여러 현실 여건도 돌봄 인력정책의 중요한 부분으로 연결시켜 왔음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정책적, 교육적, 요양기관 차원에서 제언들을 담았다. 첫째, 돌봄 인력의 정책 차원에서 전문성에 최소한의 선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교육 차원에서 단순한 지식과 기술 전달만이 아니라 돌봄 인력의 자긍심을 세워줄 필요가 있다. 셋째, 요양 기관 차원에서 급여가 아니더라도 자체 교육과 승진 가능성으로 전문성을 키우고 인식을 높여주면 재직의 장기화 효과를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labor policy among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ies for the elderly in Germany, Japan, and Korea.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examined changes in the policy environment and the framework of policy calculation in the global historical trend of elderly care policies in countries that first experienced an aging society. As a result, various policies appeared from country to country between tax-based care and social insurance-based care. Germany and Japan, which first chose the same route as Korea, advanced the professionalism of care workers, while dualizing them into auxiliary workers at the level of daily care.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elderly care workers is a must-achieve goal in the long run, but it can be seen that various real conditions have also been linked to an important part of the elderly care labor policy. Based on this study, suggestions were included at the level of policy, education, and medical care institutions. First, at the policy level, the minimum line should be maintained in the professionalism of caregivers. Second, at the educ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not only to deliver knowledge and skills, but also to build the pride of care workers. Third, even if it is not a salary, at the medical care institution level, if expertise is developed and awareness is raised through self-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promotion, the effect of long-term tenure can be seen.
목차
Ⅰ. 서론
Ⅱ. 정책배경과 선행연구
Ⅲ. 문헌연구로서 돌봄 인력정책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학대 사례관리 강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다문화가정 여성과 자녀의 유튜브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경험에 대한 이해: 생애사 이야기식 접근으로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활용한 통합사례관리 슈퍼바이저 교육요구 분석
- 자기효능감이 노인 장기요양기관 이용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관의 농(聾)노인 대상 프로그램 분석연구: 농문화 전승자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 노인 돌봄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인력정책 비교연구: 독일,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