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관의 농(聾)노인 대상 프로그램 분석연구: 농문화 전승자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용수 322
- 영문명
- nalytical Study of Programs for the Deaf Elderly in Social Welfare Centers: Focusing on the role as a transmitter of deaf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김근홍 김주희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4권 제2호, 47~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인을 언어적 소수자의 차원에서 이해하는 관점이다. 이에 농노인의 ‘농문화 전승자’ 역할을 중심으로 청각장애인 사회복지관의 농노인 대상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3개 청각장애인 사회복지관들에 농노인 대상 프로그램을 조사하였고, 더불어 홈페이지에 게시된 프로그램 홍보문과 담당 사회복지사를 통해 구할 수 있었던 프로그램 안내문 등의 자료들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각 농노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와 대면, 전화, 서면 등의 방법을 통해 면담자료를 분석하고, 이 분석은 Reagan(1985)과 Holcome(2012)의 농문화 요소를 바탕으로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세가지 차원의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농노인 대상 프로그램은 정보 접근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다양한 문화생활 제공, 농어르신과의 친목도모, 심리안정 지원, 건강지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둘째, 소극적인 방식으로 농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이 일부 있으나, 의도적으로 농문화를 반영한 프로그램은 극히 빈약하다. 셋째, 농인에 대한 관점은 전통적인 의료모델에서 벗어났으나 사회모델을 넘어 언어적․문화적인 관점으로 농인을 인식하는 데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 분야에도 농인관련 교육과정의 도입, 전문 농인사회복지관의 확대, ‘농문화 전승자’로서 농노인의 강점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들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deaf at the level of a linguistic minority. Accordingly, programs for the deaf elderly at the hearing-impaired social welfare center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role of the deaf elderly as a “transmitters of deaf culture.” The programs targeting elderly deaf individuals in three hearing-impaired social welfare agencies in Seoul were surveyed and analyzed based on promotional materials posted on their web sites and program brochures obtain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social workers. Additionally, data from interview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meetings, telephone conversations, and written correspondence with social workers operating each program were analyzed. This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elements of Deaf culture proposed by Reagan (1985) and Holcome (2012). In conclusion, three dimensions of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current programs targeting elderly Deaf individuals aim to enh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through education, provide various cultural activities, promote social interaction with elderly Deaf individuals, offer psychological support, and provide healthcare support. Second, while there are some programs that passively reflect Deaf culture, intentional programs that explicitly incorporate Deaf culture are limited. Third,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se programs have moved beyond a traditional medical model in recognizing Deaf individuals, there are limitations in perceiving Deaf individuals from a linguistic and cultural perspective beyond the social mode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related to Deaf individuals in social welfare departments, expansion of specialized deaf social welfare agencie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reflect the strengths of elderly Deaf individuals as “transmitters of Deaf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학대 사례관리 강화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다문화가정 여성과 자녀의 유튜브에 대한 인식 및 활용 경험에 대한 이해: 생애사 이야기식 접근으로
- Borich 요구도와 Locus for Focus 모형을 활용한 통합사례관리 슈퍼바이저 교육요구 분석
- 자기효능감이 노인 장기요양기관 이용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관의 농(聾)노인 대상 프로그램 분석연구: 농문화 전승자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 노인 돌봄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인력정책 비교연구: 독일,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