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성격과 전망
이용수 21
- 영문명
- Characteristics and Prospect of the Neo-liberalism Educational Reform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이병환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7권, 151~16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designed to find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Education Reform by diagnosing the problem and character of the Educational Reform which stans for the Neo-liberalism lately.
Neo-liberalism is based on the leading Western industrial history and its society, which is a new economic strategy, Neo-liberalism policies executed by our government includes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shortened age limits of teachers,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s, piecework system. and increased contractual teachers
Neo-liberalism educational reform has legalized and enforced previously trouble out- of-school studies and entrance examination-oriented education, As a result, educational publicism has been weakened, while strengthening the individualistic tendency of education, Also, the trend of treating the education system as means of strata reproduction and human capital cultivation has been strengthened, and policies based on economic efficiency are being appled
This Neo-liberalistic educational rearrangement has the charactreristics of introducing market principles, changing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labor flexibility, and strengthening capitalism ideology
Therefore, We should pay attention to find alternative to the neoliberal models which are beginning to show. especially in their practical application, the weaknesses of their theoretical formulations. In order to begin to envision successful educational reforms, it is necessary to participate:> social action among all actors involved in educational pulicymaking.
목차
Ⅰ. 서론
Ⅱ. 신자유주의의 개념과 동향
Ⅲ.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성격
Ⅳ. 신자유주의 교육개혁 시행과 평가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학교재정 운용을 중심으로-
- 학교교육 변화의 의미
- 창의적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교양교육에서 효과적인 팀 티칭(team teaching)의 구성 및 방법분석
- 학교교육에 있어서 양성 평등교육의 과제
-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성격과 전망
- 학교선택권의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재구조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 관한 연구
- 교육체제 내,외적 변화에 대한 시,도 교육청의 대응전략 분석 -부산광역시 교육청을 중심으로-
-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육변화 실체와 생존전략
- 교육시장 개방과 교육 관련산업
- 학교 교육정책 형성과정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