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선택권의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재구조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School Restructuring Policy Ensuring Students and Parents the Right of School Choice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주철안 한대동 성병창 손흥숙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7권, 123~1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hool restructuring alternatives in order to ensure students and parents the right of school choice. For the purpose it adopted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subject. As a literature review it examined the theoretical ground of the school choice policy,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he school choice policy, and compared school choice policies among the countrie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It also utilized survey research to gain opinion from parents on the school choice and the school restructuring policy. The major finding of the opinion survey are the followings. First, parents respond that present school system does not adequately meet the needs of students' aptitude and interest. Secondly, they respond that when the education authorities provide more right on school choice to the parents, it will influence
positively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well as school accountabilities and educational quality. On the contrmy, they respond, it will increase the gaps among schools. If they choose among schools, they consider important factors schools' records of college admission, humanity education as school goal,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distance and access to school etc. Thirdly, they respond positively that high
schools be diversified in educational purpose and ideals as well as in educational program. However, they afraid that it is related to the matters such as the choice information among schools, policy consistency, disadvantage of college admission.
Due to the societal changes it requires for students and parents to exercise more rights on school choice. Diversified high school system will provide students and parents more school choice rights that affect positively the quality of education. However, It might affect negatively the eq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it needs that the policy ensuring students and parents the rights of school choice he introduced incrementally and controlled in a certain degree to harmonize important educational val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 연구의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학교재정 운용을 중심으로-
- 학교교육 변화의 의미
- 창의적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교양교육에서 효과적인 팀 티칭(team teaching)의 구성 및 방법분석
- 학교교육에 있어서 양성 평등교육의 과제
-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성격과 전망
- 학교선택권의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재구조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 관한 연구
- 교육체제 내,외적 변화에 대한 시,도 교육청의 대응전략 분석 -부산광역시 교육청을 중심으로-
-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육변화 실체와 생존전략
- 교육시장 개방과 교육 관련산업
- 학교 교육정책 형성과정 이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