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Program for Creative Personality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박영태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7권, 235~26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reativity means making new idea, and personality means interactive skills with others. Personality includes both productive personality and nonproductive sides. Those who have productive personality are future-oriented, and adaptive creatively to new situation. Most of all, they behave freely. But those who have nonproductive personality are past-oriented, not adaptive to new situation. Most of all, they don't behave freely. Those who have productive personality is creative. So, productive personality means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personality means interactive skills with others which make men to behave freely without conflict with others. Those who have creative personality are liberal, affective, always haggled by something, attracted to mysterious, introversive, reserved, sincere, humoristic, receptive to ideas of others, versatile, and making mistakes occasionally.
The program for creative personality development aims at making children to cultivate these characters. For these purpose, this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o remove the obstacles to think creatively. The obstacles to think creatively are obstacles to make questions, obstacles to remind and searching informations, obstacles to imagine informations, obstacles to elaborate ideas, and obstacles to receive ideas.
This program contains four parts, to have the mind loving others, to think according to metacognotive four operational thinking method, to think according to five phases, and the situation to effort to make new ideas.
목차
I . 서론
II . 창의 성 의 의 미 와 구성 요소
Ⅲ. 인성의 의미와 건강한 인성의 특성
Ⅳ. 창의적 인성의 의미와 그 특성
Ⅴ. 창의적 인성 발달의 저해요인 및 해결방안
VI. 창의 적 인성 교육 프로그램 모형
VII.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학교재정 운용을 중심으로-
- 학교교육 변화의 의미
- 창의적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교양교육에서 효과적인 팀 티칭(team teaching)의 구성 및 방법분석
- 학교교육에 있어서 양성 평등교육의 과제
-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성격과 전망
- 학교선택권의 보장을 위한 학교체제 재구조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 관한 연구
- 교육체제 내,외적 변화에 대한 시,도 교육청의 대응전략 분석 -부산광역시 교육청을 중심으로-
- 단위학교 수준에서 교육변화 실체와 생존전략
- 교육시장 개방과 교육 관련산업
- 학교 교육정책 형성과정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