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생교육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직업기초능력 분석: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23
- 영문명
- Analyzing the vocational basic skills of adult learners in continuing education colleges: the case of University Y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류영철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4권 제2호, 153~1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평생교육 단과대학(미래융합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다양한 변수분석을 통해 성인학습자의 지속적 학업제고, 비교과 프로그램 구조화, 진로 재설계, 프로그램 재설계, 교양교육과정 재구조화 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동남권 지역 Y대학 미래융합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측정도구를 선정하여 직업기초능력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빈도분석의 긍정률과 기술통계 결과는 문제의 수시 모니터링, 컴퓨터와 기자재 활용 능력, 리더십, 발표 능력, 진로 비전 설정에서 긍정률과 평균이 상대적으로 더 낮았다.
둘째, 일원분산분석 결과에서는 연령, 학년, 경제활동, 고교졸업유형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연령은 높고 학년은 낮으며 비정규직이고 검정고시 출신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더 낮았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리더십 제고, 논리적으로 말하고 보고서 쓰기, 발표능력, 창의적 업무적용은 문제해결의 긍정성, 진로비전의 명확성, 도덕역량, 컴퓨터 활용능력 등이 인과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의 재구조화와 연계가 필요하다. 직업기초능력 향상 과정이 대부분 교양과정으로만 파편화되어 있고 전공과목과의 유기적 연계가 부족하므로 교양과 전공과목과의 실질적 연계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재구조화가 요구된다.
둘째, 직업기초능력향상방안은 교양교과 뿐만 아니라 전공교과안에서도 이론 및 프로젝트 실습을 진행함에 있어 이들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종합적 연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의 교육 기간 내에 직업기초능력을 단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표준화된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continuous academic improvement of adult learners, structuring of non-college programs, career redesign, program redesign, and restructuring of liberal arts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variables on the vocational basic skills of adult learners enrolled in a college of continuing education (Future Convergence College).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enrolled in the Future Convergence College of Y University in the Southeast region. Measurement tools were selected through an expert council to analyze basic vocational skill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ate and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ve rate and mean were relatively lower for problem monitoring, computer and equipment utilization, leadership, presentation skills, and setting a career vis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howed differences in age, grade, economic activity, and type of high school graduation. In particular, the mean was lower for those with higher age, lower grade, non-regular employment, and GED.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eadership enhancement, logical speech, report writing, presentation ability, and creative work application had causal effects on positivity in problem solving, clarity of career vision, moral competence, and computer liter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First, the curri culum needs to be restructured and linked. As most of the courses forimproving vocational basic skills are fragmented into liberal arts courses and lack organic linkages with major subjects,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to strengthen practical linkages between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Second, measures to improve basic vocational skills should be taken not only in liberal arts courses but also in major courses in order to improve these skills in theory and project practice.
Third, a standardiz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that allows students to acquire basic vocational skills in stages within the university education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형법범죄율이 경찰관 수에 상호 미치는 영향
- 영동고속도로 결빙사고 다발구간의 교통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역대 대통령 취임사에 내재된 정책기조 분석
- 코로나19가 국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청·중년층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인식 비교: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장애인의 지역공동체의식 수준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 매개효과 검증
- 평생교육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직업기초능력 분석: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 게임중독의 의료화 현상에 대한 연구
- 우울감이 불면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수면 신념과 수면 노력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와 신용위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