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중년층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인식 비교: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116
- 영문명
- Comparing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Perceptions between Young and Middle-aged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이미영 이미경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4권 제2호, 87~9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에서 발행한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여 청년층과 중년층의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인식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19∼49세의 1인가구와 부부 및 미혼자녀로 구성된 다인가구이다. 분석은 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건강인식 중 주관적 건강인지, 미충족 의료, 최근 2년간 건강검진 및 암검진에서 1인가구와 다인가구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적 건강인지에서는 1인 가구가 다인 가구보다 우울점수와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으며 행복감 지수는 다인 가구가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출산율 저하, 의료비 상승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정책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출산 정책 등 다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여 다인가구 형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perceptions of young and middle-aged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using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publish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participants included 19-49 year old people, and were composed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consisting of married couples and unmarried childre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for composite sample analysis. Concerning physical health perceptions, the results showed a difference between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in subjective health awareness, unmet medical care, and health checkups and cancer screenings for the last two years. In addition, regarding mental health, single-person households had higher depression scores and stress levels than multi-person households. In conclusion, to solve issues related to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such as a decrease in the birth rate and a surge in medical expenses, various policies targeting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such as stable childbirth, should be adop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형법범죄율이 경찰관 수에 상호 미치는 영향
- 영동고속도로 결빙사고 다발구간의 교통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역대 대통령 취임사에 내재된 정책기조 분석
- 코로나19가 국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청·중년층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인식 비교: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장애인의 지역공동체의식 수준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 매개효과 검증
- 평생교육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직업기초능력 분석: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 게임중독의 의료화 현상에 대한 연구
- 우울감이 불면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수면 신념과 수면 노력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와 신용위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