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장애인의 지역공동체의식 수준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127
- 영문명
- Effects of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disabled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on social participatio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김두래 강상훈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4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사회참여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지역공동체의식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효과를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김천 부곡동에 위치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장애인으로 장애인이 거주하는 가구 전체를 대상으로 대인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구임대아파트 장애인의 지역공동체의식과 사회참여는 다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구임대아파트 장애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수준은 정보적 관계망, 정서적 관계망, 도구적 관계망, 사회활동적 관계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공동체의식과 도구적 관계망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넷째, 지역공동체의식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망(정보적, 정서적, 사회활동적)은 완전매개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사회적 관계망이라는 다차원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네 가지 하위변인의 관련성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장애인이라는 특수성을 가진 집단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가 검증된 변수와 그렇지 않은 변수를 구분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사회정책 수립과 실천 서비스 과정에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living in a permanent rental apartment. It also analyzes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n social participation. participants included disabled 90 people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in Bugok-dong, Gimcheon. Inter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households where disabled persons reside.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throug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abled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had low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ocial participation. Second, the social network level of these disabled persons could be expressed in the following order: informational, affective, instrumental, and social activity networks. Third,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instrumental network. Fourth, in the effects of social consciousness on social participation, social networks (informational, emotional, and socially active) have been shown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This study focuses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social networks, sets up a research model, and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four sub-variables. In addition,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group with specificity called the disabled living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divided into verified and non-verified variable, the data may be useful in future social policy establishment and in implementation as a service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형법범죄율이 경찰관 수에 상호 미치는 영향
- 영동고속도로 결빙사고 다발구간의 교통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역대 대통령 취임사에 내재된 정책기조 분석
- 코로나19가 국내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청·중년층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인식 비교: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장애인의 지역공동체의식 수준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 매개효과 검증
- 평생교육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직업기초능력 분석: Y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 게임중독의 의료화 현상에 대한 연구
- 우울감이 불면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수면 신념과 수면 노력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와 신용위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