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기지역 조선시대 후기 주거[民家]의 조성방식과 상부시설 검토 - ‘呂’자형, ‘日’자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162

영문명
Examination of the Architectural Construction Method and Superstructure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Private Houses) in the Gyeonggi Region : with focus on ‘呂’-shaped and ‘日’-shaped house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용호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7집, 407~43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까지 조선시대 주거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전기에만 한정되어 있고, 형식을 분류하거나 성격을 추론하는 정도였다. 이러한 이유는 지금껏 조선시대 후기 취락 발굴 예를 찾아보기 힘들었고 그만큼 관심도 적은 탓이 클 것이다. 최근 들어 경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후기 취락 유적의 사례가 축적되기 시작하면서 주거지에 대해 어느 정도 구체적 검토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글은 보고된 조선시대 후기 주거의 조성방식과 벽체 및 상부구조에 관한 특징을 살펴보고, 고고학적 흔적과 함께 민속학적 자료를 발췌하여 수혈식+움집구조라는 확증편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도 함께 열어 두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연구자들과 조사자들이 이전까지 조선시대 전기와 후기 주거지 모두 맹목적으로 수혈식+움집이라 수용했던 구조에 관해 강한 의구심이 드는 몇 가지 문제점을 살펴보고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후기 주거의 저장매납시설과 야외취사시설을 통해 당시 구지표면을 복원하여 수혈식보다는 지상식 또는 반지상식으로 조성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동일형식의 중복관계를 분석하여 설득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벽체와 상부구조에 있어서는 일부 유적에서 확인된 주거 내 기초시설을 통하여 흙담 또는 토석담의 벽체시설과 보와 도리, 서까래를 얹은 상부구조의 건축기술을 제시하였는데, 벽체시설까지 잔존한 전국의 조선시대 후기 유적의 사례를 통해 본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출토유물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상부시설을 온전하게 갖춘 목조구조나 가구 및 장식품에 적합한 철제 문고리, 경첩, 자물쇠, 청동열쇠 등이 보고되어 이와 같은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 후기와 근대의 민속학적 사례와 사진 자료를 비교하여 당시 혹은 그 이전의 유사한 축조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는데, 조선시대 후기 주거의 조성방식과 벽체 및 상부시설이라 추론하는 데 부족함이 없었다.

영문 초록

Studies on Joseon Dynasty dwellings thus far have been mostly limited to its early period, and consist of mere inferences in terms of type classifica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The cause of such limitations can be found in the lack of settlement excavations dating to the Joseon Dynasty. However, late Joseon Dynasty settlement excavations has recently increased in the southern Gyeonggi region, which allows for detailed examinations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architectural methods of construction, wall structures, and the superstructures of dwellings. By considering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folk data, this study attempts to escape from the preconception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as only having pit-type + dugout structures, leaving the door open for new possibilities. Therefore, regarding the late Joseon Dynasty dwelling structures that were blindly accepted as having pit-type + dugout structures, several issues that led to strong doubts were examined in detail. First, by restoring the old ground surface through data related to storage pits and outdoor cooking facilities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it was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above-ground or in-ground constructions was relatively high. An attempt to strengthen the persuasive power of this suggestion was made by analyzing the overlapping relationships of the same types of dwellings. Regarding the wall structure and superstructure, the basic facilities of dwellings confirmed at certain ancient sites were referenced to form an understanding of wall structure facilities, such as mud or soil-stone walls, and the possibility that walled houses were constructed using beams, girders and rafters was suggested. An attempt to prove such a theory was made by utilizing the cases of late Joseon Dynasty sites featuring the remains of wall structure facil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xcavated artifacts revealed the presence of items such as iron doorknobs, hinges, locks and bronze keys that are associated with wooden structures with proper superstructures, furniture, and ornaments. These findings greatly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that such wooden structures with proper superstructures may have existed.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similar construction methods of the time by extracting folk cases and photographic data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odern era, and they were all sufficiently useful in allowing inferences on the architectural methods, wall structures and superstructures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to take place.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 현황
Ⅲ. 연구자들의 이해와 해석
Ⅳ. 고고학적 사례
Ⅴ. 근대 자료의 사례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호. (2023).경기지역 조선시대 후기 주거[民家]의 조성방식과 상부시설 검토 - ‘呂’자형, ‘日’자형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 407-436

MLA

김용호. "경기지역 조선시대 후기 주거[民家]의 조성방식과 상부시설 검토 - ‘呂’자형, ‘日’자형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2023): 407-4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