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XRF 분석을 통해 본 삼국시대 영산강유역 부장토기의 교환 양상

이용수 148

영문명
Investigating the Exchange Patterns of Three Kingdoms Period Burial Vessel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through Geochemical Analysis Using pXRF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박지영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7집, 349~37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휴대용 형광 X-선 분광기(pXRF)를 이용한 토기 태토의 지화학적 분석을 통해 영산강유역 분구묘 출토 부장토기의 교환 양상을 검토하였다. 크게 두 가지 문제를 다루었는데, 먼저 분구묘에서 출토된 須惠器(系) 유공광구호를 중심으로 외래계 유물의 유입 혹은 모방 여부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대다수의 영산강 유역 출토품과 태토 성분의 차이를 보여 유입품으로 볼 수 있는 것과 현지 제작 가능성이 높은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기존에 외래계 유물로 논의되지 않았으나 영산강유역 밖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유물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한 유적 출토 부장토기의 제작지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화학적 성분으로 보았을 때 분묘에서 출토된 토기가 서로 다른 유적 간에 군집이 분명하게 나뉘지 않고 한 유적 출토품이라 하더라도 원소 성분 함량의 편차가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대조군인 취락 출토 토기의 분석에서는 유적 간에 군집이 분명하게 나뉘는 것을 보았을 때 분묘 출토품의 분석 결과는 생활토기와는 달리 여러 곳에서 제작된 토기가 한 유적에서 소비되었음을 보여 주며, 영산강유역 내에서 유적 간에 토기 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렇게 교환된 토기는 일종의 조문품으로서 수장계층의 장례에 주변의 여러 집단이 참여했던 상황이 물질자료에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xchange patterns of burial vessels excavated from bungumyo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which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sis using a portabl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pXRF). Two main issues are addressed. Firstly, wares thought to have been imported, namely, sueki,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y were imported or locally imitated. Most of the sueki analyzed in this study differed in chemical composition from locally produced ceramics, indicating that they were likely imported, while one sample may have been produced locally. Additionally, some ceramics that are not traditionally classified as imported wares were found to have been produced outside of the Yeongsan River basin. Secondly, exchange patterns of burial vessels within the Yeongsan River basin were examined through comparisons of chemical compositions for artifacts from different archaeological sites. Results showed that even within a single site, variation in chemical composition of burial vessels was significant and did not cluster according to its location of burial. This contrasts with the clear clustering observed in the analysis of utilitarian pottery excavated from settlement sites. This may indicate that pottery produced at multiple locations was placed within a single burial site and pottery used as burial vessels were frequently exchanged between sit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t is believed that these items were used as funeral offerings brought by a variety of groups that participated in funerary rituals.

목차

Ⅰ. 서론
Ⅱ. 분석 대상과 분석 방법
Ⅲ. 화학적 성분을 통해 본 외래계 토기: 須惠器(系) 토기를 중심으로
Ⅳ. 화학적 성분을 통해 본 부장토기의 제작지 다양성: 생활토기와의 비교를 통해
Ⅴ. 영산강유역 부장토기 교환의 배경과 의미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영. (2023).pXRF 분석을 통해 본 삼국시대 영산강유역 부장토기의 교환 양상. 한국고고학보, (), 349-372

MLA

박지영. "pXRF 분석을 통해 본 삼국시대 영산강유역 부장토기의 교환 양상." 한국고고학보, (2023): 349-3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