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제석검의 병부곡률과 유통 관계 試論 - 여수반도 일원을 중심으로

이용수 80

영문명
A Study on the Hilt Curvature and Distribution of Stone Daggers - Focusing on the Yeosu Peninsula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종철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7집, 199~22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은 여수반도 일원의 지석묘 유적에서 출토된 특정의 마제석검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징에 대한 밀도 있는 분석을 통해 그 생산과 유통 관계를 고찰하는 데 있다. 병부곡률의 유사성이 확인되는 사례들을 선정하여 상호관계성을 파악하였고, 그러한 결과를 초래한 원천적인 고고학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분석 대상 석검들의 생산과 유통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으로 삼은 석검들은 손잡이의 곡률 차이에 따라 적량 동계, 가장리계, 계통이 분명하지 않은 석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여수 월내동 지석묘 유적에서 U자 본틀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석기가 출토되었다. 셋째, 적량동계와 가장리계 석검은 유적명칭에 의해 구분되지만, U자 본틀의 출토지와 병부곡률의 혼용, 그리고 생산지에서 두 석검의 혼재 양상을 통해 동일 생산지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넷째, 여수반도 일원의 지역성을 보이는 마제석검은 적량동・월내동 유적 등으로 대표되는 북동부 통합 지석묘군의 취락에서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다섯째, 여수반도 북동부 통합 지석묘군의 취락에서 생산된 마제석검은 지역연계망이나 관계망을 통해 주변 지역으로 유통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tone daggers from the Yeosu Peninsula through an intensive analysis of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selecting cases in which similarity in hilt curvature could be confirmed, correlation was identified. By presenting the original archaeological context that may have led to such a result, attempts were mad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stone dagg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one daggers that were analyzed can be classified into the Jeokryang-dong type, the Gajang-ri type, and a type of unknown origin according to hilt curvature. Second, a stone tool very likely to have been a U-shaped template pad was excavated from a dolmen in Wolnae-dong, Yeosu. In particular,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tone dagger of the Gajang-ri type. This U-shaped template pad clearly suggests the existence of stone dagger makers (artisans) or manufacturing groups and workshops. Third, the possibility that the stone daggers of the Jeokryang-dong type and the Gajang-ri type were manufactured in the same production area was proposed. The basis for this is the location where the U-shaped template pad was found, the mixed use of the hilt curvature, and the mixing of the two stone dagger types at the production site. Fourth, it is very likely that stone daggers show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Yeosu Peninsula were produced in the villages of the northeastern integrated dolmen tombs represented by the sites of Jeokryang-dong and Wolnae-dong. It is believed that there were stone dagger workshops and manufacturing groups in the village. Fifth, it is judged that the stone daggers produced in the villages of the northeastern integrated dolmen tombs were distributed to the surrounding areas through regional networks. Through this process, stone daggers with exaggerated hilts would have been supplied to Gimhae, Busan, and Tsushima.

목차

Ⅰ. 머리말
Ⅱ. 문제 제기와 분석 대상
Ⅲ. 석검의 병부곡률과 유통 관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철. (2023).마제석검의 병부곡률과 유통 관계 試論 - 여수반도 일원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 199-220

MLA

이종철. "마제석검의 병부곡률과 유통 관계 試論 - 여수반도 일원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2023): 199-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