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시대 사행상 장식 꽂이의 특성과 전개

이용수 187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Snake-shaped Ornament Hold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유영춘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7집, 315~34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국내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사행상 장식 꽂이의 현황을 집성하고, 용도·착용 방법·형식별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삼국시대 사행상 장식 꽂이는 장식용 마구의 일종으로, ‘깃발 꽂이’ 또는 ‘기생 꽂이’의 역할을 담당했다. 고구려에서는 무인집단도 사행상 장식 꽂이를 소유하였으나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수장층을 중심으로 소유하였다. 따라서 피장자의 권위를 보여 줄 수 있는 또 하나의 ‘위세품’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가~라’형으로 분류되는 삼국시대 사행상 장식 꽂이는 형태에 따라 착용 방법이 다른데, 크게 고정부 양단의 고리에 끈을 매 고정하는 방법(‘나’·‘다’·‘라’형 해당)과 끈 없이 안장에 수평으로 끼우는 방법(‘가’형 해당)으로 나뉜다. 한반도 사행상 장식 꽂이의 기원은 북연(北燕)과 관련이 깊다. 고구려를 거치면서 일반적인 형태의 사행상 장식 꽂이로 개량되었으며, 이러한 제작기술이 5세기 후반 무렵 한반도 남부지역에 전파되었다. 5세기 후반에는 신라와 가야를 중심으로 여러 형식이 병존(竝存)하였다가 그 이후부터 ‘다’형이 주로 제작되었다. 7세기 무렵까지 백제에서 사용되었다가 그 이후 점차 소멸된다. 한반도의 사행상 장식 꽂이는 6세기 중반 이후부터 일본 사행상 장식 꽂이의 등장 및 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확인되지 않는 제작기법을 찾을 수 있어 일본 현지 장인에 의해 생산 및 개량된 모습도 찾을 수 있다. 이렇듯 삼국시대 한반도에서 출토된 사행상 장식 꽂이는 ‘중국(북연)-고구려-신라·가야·백제-일본(왜)’ 등의 교류를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삼국시대 철기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the snake-shaped ornament hold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excavated in Korea, and to examine their development process according to use, mounting method, and typ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snake-shaped ornament holder was a kind of decorative harness that functioned as a flag holder or a decorative holder. In Goguryeo, military personnel also used snake-shaped ornament holders, but in southern Korea, only the elite had access to them. Therefore, they can be interpreted as another type of ‘prestige good’ that was used to demonstrate the authority of the deceased. The snake-shaped ornament holder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classified into the ‘Ga’~‘Ra’ types, were mount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shape; they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hose that involved the method of tying a string to the hook on both ends of the fixed part (‘Na’·‘Da’·‘Ra’ types) and those that involved the method of horizontal attachment to the saddle without a string (‘Ga’ type). The origin of the snake-shaped ornament holder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is deeply related to Northern Yan. Through Goguryeo, it evolved into to the general form of the snake-shaped ornament holder, and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spread to the southern regions in the late 5th century. In the second half of the 5th century, various forms co-existed mainly in Silla and Gaya, but after that, the ‘Da’ type was mainly produced. It was used in Baekje until the 7th century, after which it gradually disappeared. The snake-shaped ornament holders of the Korean Peninsula greatly influenced the appearance and production of Japanese snake-shaped ornament holders from the mid-6th century onwards. However, it is possible to also observe production techniques that are not confirmed on the Korean Peninsula, so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ocal Japanese craftspeopl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ir appearance and improvement. As such, the snake-shaped ornament holders excavated from sites on the Korean Peninsula dating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can be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type of iron artifact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llustrating exchange between China (Northern Yan), Goguryeo, Gaya, Silla, Baekje, and Japan.

목차

Ⅰ. 머리말
Ⅱ. 사행상 장식 꽂이의 현황과 용도
Ⅲ. 사행상 장식 꽂이의 분류와 착용 방법
Ⅳ. 사행상 장식 꽂이의 전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영춘. (2023).삼국시대 사행상 장식 꽂이의 특성과 전개. 한국고고학보, (), 315-348

MLA

유영춘. "삼국시대 사행상 장식 꽂이의 특성과 전개." 한국고고학보, (2023): 315-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